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철강·중공업


한화오션, 필리조선소發 투자 확대…MASGA 초기 효과 노린다

美 법인 투자사에 1857억 유상증자
미국 거점 재원 확충·운영 투입 가능성↑

[FETV=이신형 기자] 한화오션이 미국 필리조선소를 소유한 자회사 투자를 통해 MASGA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7일에는 유상증자를 결정하면서 한화오션USA홀딩스에 1818억원을 투입했다.

 

이번 유상증자는 지난해 3월 이사회에서 의결된 사안이다. 지난해 12월 최종 결정을 거쳐 지난 7일 납입 마무리가 공시를 통해 확인됐다.

 

한화오션USA홀딩스는 2023년 설립된 한화오션의 미국 법인 지주회사다. 이번에 한화오션으로부터 조달된 1818억원은 지난 8일 다시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에 1857억원 규모 유상증자 형식으로 재투자됐다.

 

한화오션USA홀딩스의 종속회사인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은 투자사업 전문 법인으로 필리조선소의 지분 40%를 소유하고 있다. 공시에 따르면 투자된 자금은 투자재원 마련에 사용될 예정이다. 따라서 필리조선소와 같은 미국 내 거점 재원 확충과 운영에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이어진다.

 

 

한화오션USA홀딩스의 상반기 총 자본은 약 49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배 증가했다. 지난해 6월과 올해 2월에도 유상증자를 실시하며 자본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필리조선소에 대한 한화오션의 적극적인 자본 투입이 예상된다. 또 이러한 자금 투입은 한화오션의 향후 MASGA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재원이 될 전망이다.

 

필리조선소는 미국 동부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상선·군함 전문 조선소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6월 필리조선소에 대한 인수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말 한화오션USA홀딩스는 자회사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을 통해 필리조선소 지분 40%를 확보하며 필리조선소 인수를 최종 확정지었다.

 

한화오션은 인수 계약 이후인 지난해 7월 미 해군과 ‘MSRA(미 해군 함정 정비 협약)’를 체결하며 미 해군 MRO(유지·보수·운영) 사업 자격을 확보했다. 이에 지난해 8월에는 국내 조선사 최초로 미 해군 MRO 수주에 성공했고 11월에도 추가 수주 물량을 확보하며 한미 조선 협력의 기반을 다졌다.

 

 

올해 7월에는 미 해군 군수지원함 ‘찰스 드류호’ MRO와 3480억원 규모 필리조선소발 LNG운반선 수주 계약도 체결했다. 이 LNG선은 미국 조선소에서 약 50년 만에 발주된 수출형 선박이다. 설계와 엔지니어링은 거제조선소와 필리조선소가 분담하는 구조다. 해당 수주는 2029년 시행 예정인 ‘미국산 LNG운반선 의무화’에 선제 대응한 사례로 평가된다.

 

필리조선소는 한미 조선·방산 협력 확대의 핵심 거점으로 꼽힌다. 지난달 말 미 해군장관과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이 현장을 방문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고 직후 한미 간 관세 협상이 타결됐다. 오는 25일 진행될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일정에도 필리조선소 방문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MASGA에 따라 한미 조선협력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미 해군 정비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외부 조선소 활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필리조선소 인수와 MSRA 확보로 MASGA의 초기 수혜를 누릴 가능성이 높다. 필리조선소를 통해 현지 부품 조달과 인력 양성 기반도 마련돼 있어 사업 전개 초기부터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지난 6월 미국 상원과 하원에서 ‘존스법(Jones Act)’ 폐지 법안이 발의되는 등 제도 개편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향후 한화오션의 미국 조선·방산 시장 확장과 사업 환경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