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IT일반


[컨콜-네이버] 김희철 CFO "재무 상황에 맞춰 AI 인프라 투자 확대"

[FETV=신동현 기자] 네이버는 2025년 1분기에 매출액 2조7868억원, 영업이익 5053억원, 조정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 7010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1분기 연결 매출액은 서치플랫폼, 커머스 등 주요 사업 부문의 견조한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한 2조 7868억원을 기록했다. 조정 EBITDA는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한 7010억원을 기록했다.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5.0% 증가한 5053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18.1%를 기록했다.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서치플랫폼 1조 127억원, 커머스 7879억원, 핀테크 3927억원, 콘텐츠 4593억원, 엔터프라이즈 1342억원이다.

 

서치플랫폼은 상품 개선 및 타겟팅 고도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 전분기 대비 4.9% 감소한 1조 127억원을 기록했다.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지면 최적화가 진행되며 상품 경계가 허물어짐에 따라 전체 광고 효율 및 매출 성장이 이어지는 중으로 2분기부터는 전체 네이버 플랫폼 광고 중심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커머스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 N배송 개편, 멤버십 혜택 강화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 전분기 대비 1.6% 성장한 7879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스마트스토어와 서비스 거래액 성장으로 네이버 커머스의 온-플랫폼(On-Platform)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으며 커머스 광고 매출은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 및 지면 최적화, 추천광고 고도화 등의 영향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핀테크는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 전분기 대비 2% 감소한 3927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스마트스토어 성장 및 외부 생태계의 지속적인 확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한 19.6조 원을 달성했다. 네이버페이는 4월 선보인 증권사 간편주문 서비스(WTS)를 비롯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 영역에서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갈 계획이다.

 

콘텐츠는 전년 동기 대비 2.9% 성장, 전분기 대비 1.7% 감소한 4593억원을 기록했다.

 

엔터프라이즈 부문은 라인웍스 유료 ID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 전분기 대비 24.4% 감소한 1342억원을 기록했다. 이번 분기부터 기존 클라우드 부문은 사업부문의 구성상 특징 등을 고려해 명칭을 엔터프라이즈 부문으로 변경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네이버만의 콘텐츠와 데이터를 검색뿐 아니라 발견과 탐색, 쇼핑과 플레이스 등으로 연결하며 AI가 대체할 수 없는 생태계 기반의 독보적인 플랫폼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며 “이용자 경험 고도화와 서비스 및 광고 기술의 점진적 변화를 통해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Q. 커머스에서 AI 솔루션 도입 효과와 B2B 솔루션 사업 진척 상황은 어떤가

 

A. 최수연 대표이사
현재 네이버 쇼핑에서 약 100여 개의 AI 기반 솔루션을 판매자들에게 제공 중이며 추천, 마케팅, 거래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판매자들이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일부 유료 솔루션은 무료로 제공 중이며 이를 통해 거래액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B2B 솔루션 사업은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 중이며 구체화되면 추가로 공유할 계획이다.

 

Q. 생성형 AI로 인해 검색 트래픽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나

 

A. 최수연 대표이사
현재 네이버 검색 트래픽은 안정적이며 생성형 AI 서비스로 인한 트래픽 감소는 확인되지 않았다.네이버 검색은 정답형 검색보다 쇼핑, 맛집 등의 탐색형 정보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사용자 만족도도 유지되고 있다. 향후 개인화된 검색 경험을 강화해 AI 기반 검색을 통해도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계획이다.

 

Q. AI 브리핑 서비스 적용 범위는 왜 제한적으로 적용했는지 그리고 향후 계획은 어찌되는지 답변 부탁드린다


A. 최수연 대표이사
AI 브리핑 서비스는 1% 수준에서 제한적으로 적용 중이다. 이는 서비스 안정성을 확인하고 영향도를 관리하기 위한 조치다. 연내에는 두 자릿수 커버리지로 확대할 계획이다.


Q. 네이버 쇼핑 앱 출시 효과가 있는지와 더불어 향후 성장 가능성은 어찌 보나

 

A. 최수연 대표이사
쇼핑 앱은 출시 이후 사용자의 방문 빈도와 구매 전환율이 웹 대비 더 높다. 특히 플러스 멤버십 이용 고객과 같은 충성도 높은 사용자층이 앱을 적극 활용하며 앱만의 차별화된 UX와 AI 쇼핑 가이드 기능을 통해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성장가능성에 대해선 올해 앱을 통한 거래액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Q. 오픈소스 AI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버 X의 활용 계획과 수익화 방안은 무엇인가


A. 최수연 대표이사
하이퍼클로버 X는 네이버의 검색, 커머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또 금융, 자원 관리 분야 등 다양한 버티컬 AI 서비스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미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은행과 AI 도입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러한 B2B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수익화를 확대할 예정이다. 오픈소스 모델은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조치로 AI 솔루션 적용 기업을 늘리고 생태계를 확장할 방침이다.

 

Q. GPU 등 AI 인프라 투자 계획에 대해 알고 싶다. 그리고 그에 따른 CAPEX 전략에 변화가 생기나


A. 김희철 CFO
AI 기반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GPU 등 AI 인프라에 대한 CAPEX 투자는 확대될 예정이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글로벌 빅테크 트렌드를 따르기보다는 재무적 검토를 통해 네이버의 전략과 자원 여력에 맞춰 성장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