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SK텔레콤 해킹 사태, 모두에게 남긴 상처

[FETV=신동현 기자]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사용자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하며 여론의 비판이 거세다. 특히 유심 해킹 가능성으로 고객 불안이 커지고 있으며 책임론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신고 지연 문제와 초기 대응 부족은 분명히 개선이 필요하다. 유심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관리되었다는 점도 문제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주도로 조사 중이며 1차 발표에서는 IMEI(단말기 고유 식별번호)가 유출되지 않았다고 확인됐지만 현재 2차 조사가 진행 중이다.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지켜봐야겠지만 SK텔레콤의 신뢰성에는 타격이 불가피하다. 

 

현재 SK텔레콤은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는 오명을 벗어날 순 없지만 SK텔레콤 직원들은 늦게라도 외양간을 고치는 중이다.

 

세간의 비판과 별개로 SK텔레콤 직원들의 노력은 무시할 수는 없다. 유심 지급의 경우 물량 부족 문제로 지탄 받고 있지만 SK텔레콤 입장에서는 최대한 많이 그리고 빠르게 물량을 확보하려 해도 현실적 어려움이 크다.  SK텔레콤의 경우 4개의 업체로부터 유심을 공급 받는데 최대한 빠르게 공급하려 해도 현실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물량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4개 업체로부터 유심을 공급 받고 있는 상황이라 한번에 공급받을 수 있는 수량에는 한계가 있다"며 "공급업체들과 협력해 최대한 빠르게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객 불편을 감안해 SK텔레콤은 공항 등 주요 현장에 대응팀을 배치해 고객 보호에 나서기도 했다. 유심 예약 신청 시스템을 통해 고객들에게 대기 시간을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5월 황금 연휴는 이들에겐 남의 이야기였다.

 

대리점에서의 불친절 문제에 대해서도 책임은 피할 수 없지만 말하지 못하는 사정도 있다. 직영점은 본사 직원이 직접 관리할 수 있지만 2300개에 달하는 대리점은 자영업자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본사에서 일일이 제어하고 제재할 수는 없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대리점은 계약을 맺고 수수료를 지급하는 구조라 사실상 자영업자"라며 "자영업자들에게 우리가 제재를 가할 수 없는 상황이라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1차 조사 이후 2차 조사는 민간 외부 업체에서 진행하고 있고 SK텔레콤은 조사에 임하면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후 처분이 나오기까지 SK텔레콤은 질타를 견디며 묵묵히 기다려야한다. 

 

이번 사고로 SK텔레콤은 그동안 쌓아온 신뢰가 한 순간에 무너지게 됐다. 하지만 지금의 조치가 뒤늦은 외양간 고치는 일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헛된 노력으로 치부되는 것으로 끝나질 않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