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신동현 기자] KT는 서울 강남구 안다즈 호텔에서 기자간담회 ‘KT그룹 미디어토크’를 열고 미디어 플랫폼·콘텐츠·사업 모델 세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전면적인 전략을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IPTV 플랫폼 지니 TV에 대화형 AI 에이전트를 올해 상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가입자는 “군대 배경의 유쾌한 드라마 뭐였지?”처럼 말하면 AI가 해당 콘텐츠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바로 시청할 수 있는 방식이다. 하이라이트 보기, 특정 장면 건너뛰기 등의 사용자 편의 기능도 탑재한다.
지니 TV의 AI 에이전트는 홈쇼핑사업자와 협업할 수 있다. KT는 이를 기반으로 파트너사의 빅데이터 분석과 인사이트 도출을 돕는 쇼핑 인사이트 솔루션도 제공할 계획이다. 향후 KT HCN 등 그룹사에도 AI 플랫폼을 확장 적용할 예정이다.
KT는 콘텐츠 밸류체인 전반에 AI를 적용하기 위해 ‘AI 스튜디오 랩’을 신설했다. 이 조직은 기획·제작·편집·유통에 이르기까지 AI 기반 도구를 활용해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과 품질을 높이는 역할을 맡는다. AI 보조작가, 흥행 예측 시스템, AI 스토리보드, AI 숏폼 제작 등의 기술이 활용된다.
KT스튜디오지니는 ‘AI 제작 명가, Next IP 스튜디오’로 전환을 추진하며, 독점 공개에서 OTT 동시 공개로 유통 전략을 바꾸고 글로벌 진출을 위한 로컬 프로덕션 협업도 준비 중이다. 대표 IP ‘신병’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극장판 영화 ‘신병: 더 무비’도 제작에 돌입했다.
KT는 IPTV 사업 모델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 채널과 숏폼 콘텐츠로 신성장 동력을 찾는다. 상반기 중 지니 TV에서 FAST를 시범 운영하고 성과에 따라 글로벌 진출도 검토할 예정이다. 숏폼 콘텐츠 제작은 KT스튜디오지니 중심으로 추진되며, 국내외 플랫폼과 약 20편의 공동 제작도 협의 중이다.
이와 함께 실시간 채널과 VOD 중심의 IPTV 구조를 새롭게 재편하는 작업도 검토 중이다.
KT 미디어부문장 김채희 전무는 “약 1400만 미디어 고객과 콘텐츠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AI 기반의 미디어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겠다”며 “IP 확장 전략과 AI 혁신을 결합해 KT 미디어의 새로운 길을 개척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