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선호 기자]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후 투표를 진행했지만 최종 ‘불성립’ 결론이 나오는 동안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미국 유력 경제 매체 포브스의 보도를 국내 매체가 인용하면서다.
같은 날 포브스는 “윤 대통령의 이기적인 계엄령 사태에 대한 대가는 한국의 5100만 국민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할하여 지불하게 될 것”이라며 윤 대통령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입증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며 “윤 대통령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옳다는 걸 보여줬다”며 “중국 경제둔화, 미국 정권교체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한국이 이번 계엄사태로 정치적 마비 상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물론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비상계엄’, ‘대통령 탄핵소추안’ 사태 이전부터 거론됐다. 윤 대통령은 ‘한국 주식시장 육성’을 공약으로 내걸고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힘을 쏟았다. 각 상장사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최근 잇따라 공시한 배경이기도 하다.
내수 부진과 수출 둔화 등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약화되는 상황 속에서 미래 청사진을 제시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나가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비상계엄에 이어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증시 저평가 우려가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이에 탄핵소추안이 상정 되기 전 한덕수 국무총리는 6일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경제팀 전원이 일치단결해 현 상황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해 달라”고 밝혔다.
또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탄핵이나 정권 교체, 정치적 불안정 상황과 상관없이 밸류업 프로그램은 지속될 것”이라며 “정치적 성향과는 관계없이 모두가 이 프로그램을 지지하고 있다”고 6일 오후 블룸버그TV에 출연해 이와 같이 밝혔다.
현 시점에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불성립되기는 했지만 정치적 불안정성이 해소되고 있지는 않다. 비상계엄에 따른 후폭풍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정치적 불안정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힘을 얻고 있는 중이다.
다만 소비 심리 위축, 금융 시장 및 환율‧금리 변동성이 커지더라도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시각도 제기된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2016년에도 탄핵 국면 시장 충격 이후 저점이 형성됐고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상승전환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