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리는 삼성 준감위 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40835/art_17246588587022_7b4726.jpg)
[FETV=최명진 기자]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이찬희 위원장은 26일 삼성의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비 납부 문제에 대해 "정경유착의 고리는 정치권력의 전리품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한경협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확실하게 끊을 수 있는 인적 쇄신이 됐는지 근본적인 의문이 있다"며 "정경유착의 근본을 끊기 위해서는 결단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한경협은 지난 3월 말∼4월 초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을 포함한 420여개 회원사에 회비 납부 공문을 발송했다. 국정농단 사건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현 한경협)를 탈퇴한 이후에도 회원으로 가입해 있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한경협에 흡수 통합된 데 따른 것이다.
4대 그룹 중 현대차그룹은 지난 7월 초 회비를 납부했고, SK그룹도 지난주 35억원 수준의 연회비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LG그룹 역시 회비 납부를 내부 검토 중이다.
삼성의 경우 준감위가 지난해 8월 발표한 한경협 가입 권고안에 따라 회비 납부 전 준감위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삼성 준감위는 지난달 정례회의에서 한경협 회비 납부 문제에 대해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 위원장의 발언은 김병준 전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대행은 현재 한경협 고문으로 있다.
이 위원장은 “한 번의 원칙이 무너지는 예외를 인정하기는 쉽지만, 그 원칙을 다시 회복하려고 하면 불가능하거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그래서 준감위에서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신중하게 회비 납부를 고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