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SK이노-SK E&S 합병 시 타 선진국 성공사례로 '기대'

 

[FETV=박제성 기자] 올해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인 SK그룹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과 SK E&S간의 11월 합병을 앞두고 있다. 

 

19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사실 전부터 해외 에너지 기업간 M&A(인수합병)를 통한 성공 사례가 있어 이번 SK 두 계열사간 11월 합병 출범에 관심을 끌고 있다.

 

2016년 글로벌 에너지업계에서는 메머드급 에너지 기업간의 M&A 소식이 전해졌다. 세계 2위 정유사인 네덜란드와 영국의 본사를 둔 '로열더치쉘(이하 쉘)'이 영국 3위 천연가스 기업 'BG그룹'을 470억 파운드(약 82조4130억 원)에 인수키로 한 것.

 

특히 당시 이목을 끌었던 배경으로는 국제 유가가 급락하는 가운데 체결됐다는 점이다. 쉘 입장에서는 글로벌 유가시장이 불안정한 상황, 즉 수익성이 안좋은 상황에서도 통 큰 투자를 전개한 셈이다.


쉘의 판단은 적중했다. BG그룹 인수 후 쉘의 원유 및 가스 비축량은 25%, 생산량은 20% 증가했다. 쉘은 세계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업체가 됐다. 쉘의 현금창출력(상각 전 영업이익, EBITDA 기준)은 362억 달러에서 615억 달러로 1.7배가량 늘었다. 

 

쉘은 늘어난 현금으로 2017년 주주들에게 150억 달러를 배당하고 2020년까지는 25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주주들의 이익을 보전해주는 등 규모의 성과를 선보였다. 

 

이같은 성공사례로 2018년 프랑스의 대형 석유기업 토탈은 프랑스 천연가스 기업 엔지의 LNG 자산을 14억9000만 달러(2조182억원)에 사들였다. 

 

또 2020년에는 미국 2위 정유사 셰브론이 천연가스 사업 강화를 위해 경쟁사였던 노블에너지를 130억 달러(17조6085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20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올해는 엑손모빌이 셰일가스 시추업체인 파이어니내추럴리소스를 600억 달러(81조2700억원)에 사들이기로 했다. 

 

이런 와중에 한국에서도 SK이노베이션과 SK E&S가 글로벌 에너지 경영 트렌드를 따르고 있는 모습이다.  

 

국내 최대 종합 화학·에너지 기업 SK이노베이션과 국내 1위 민간 LNG 기업인 SK E&S가 합병하기로 손을 맞잡았다.

 

이를 두고 산업계에선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이자 배터리 사업을 하는 SK온의 재무구조 개선에 힘을 보태기 위해서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더해 양사간 가진 특장점을 최대한 십분 발휘해 시너지를 최대치로 끌어 올리겠다는 구상이다. 

 

대표적으로 LNG 등의 천연가스를 비롯해 친환경 분야 등에 사업에서 수익성과 시너지를 높일 수 있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것에 SK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친환경 에너지 분야로 각광받는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열관리 공급시스템과 SK E&S는 수소,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 역량을 합쳐 시너지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이같은 사업 구상에 대해 글로벌 신용평가사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무디스(Moody’s)는 "이번 합병으로 사업 다각화 및 운영 안정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했다.

 

글로벌 최대 의결권 자문기관도 합병을 지지하고 있다.  ISS와 글래스루이스도 주주들에게 두 회사의 합병을 지지할 것을 권고했다. 

 

또 양사간 합병 시 현금을 대폭 확보할 것으로 SK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양사 합병 시 자산만 100조원에 이르고, 현금창출력의 대표 지표(EBITDA)는 5조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양사는 2030년까지 EBITDA를 20조원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