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국내 시공능력 16위, 중견 건설사인 태영건설이 결국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신청했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이날 오전 이사회를 열고 워크아웃 신청을 결정했다.
앞서 몇 주 전부터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설이 줄곧 감돌았는데 태영건설 측은 "아직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고수한 바 있다. 하지만 올해 급격히 높아진 부채비율과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우려로 유동성(자금 상환)의 위기에 고베를 마신 격이다.
이에 따라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선택했다. 현행 워크아웃 제도는 기촉법상 채권단 75% 이상이 동의하면 개시된다. 워크아웃이란 대출만기 조정과 신규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유동성 리스크를 완충역할은 물론 경영정상화를 진작해주는 제도다. 태영건설의 주요 채권단은 KDB산업은행과 국민은행 등이 있다.
특히 당장 태영건설에게 급한 불은 서울 성수동 오피스 개발 PF 대출 만기 상환을 해결하는 것이다. 해당 PF는 480억원 규모의 PF대출 만기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였는데 이번 워크아웃의 많은 작용을 받았던 평가를 받는다.
태영건설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순차입금이 1조9300억원, 부채비율은 478.7%로 매우 높은 상태다. 한국기업평가는 전날 GS건설과 동부건설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또 태영건설과 신세계건설의 등급전망도 '부정적'으로 변경했다.
앞서 최상목 경제부청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와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6일 태영건설 워크아웃과 관련해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