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권지현 기자] 금리가 오르고 경기가 악화되면서 7년 이상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장기존속 한계기업'이 900곳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총 50조원 규모의 금융기관 차입금을 보유했는데, 외감기업과 한계기업 차입금의 각각 5.1%, 29.6% 수준이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계기업은 3903개로, 전체 외부감사 대상 비금융법인(외감기업)의 15.5%에 달했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 비용)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이 가운데 5년 이상 연속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03개사로 집계됐다. 전체 한계기업의 23.1%에 해당한다.
규모별로는 자산 1000억원 이상 1조원 미만 외감기업의 4.0~4.3%가 장기존속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산 1000억원 미만 중소기업(기업 수 기준 3.2~3.9%)이나 1조원 이상 대기업(2.6%)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부동산(6.1%), 운수(6.8%) 업종과 영업 규모가 상대적으로 영세한 사업지원 서비스업(19.6%)에서 장기존속 한계기업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평균 자산은 1291억3000만원, 매출은 648억6000만원으로 비한계기업의 0.67배, 0.4배에 불과했다. 반면 부채(1127억1000만원), 차입금(645억2000만원), 이자 비용(35억3000만원)은 각각 비한계기업의 1.23배, 1.47배, 2.32배였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부실 위험(중위값 기준)은 5.67%로, 외감기업과 한계기업의 부실위험(0.88%, 3.26%)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2021년 신규 취약 기업(취약 1년)의 36.6%, 신규 한계기업(취약 3년)의 22.6%가 지난해 정상기업으로 회복됐으나,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9%만 정상기업으로 회복됐다.
한은 관계자는 "자산규모, 산업에 따라 장기존속 한계기업 간에도 부실 위험 등 건전성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부실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취약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등과 같은 정책을 판단하고 실시할 때 한계기업 여부뿐 아니라 개별 기업의 재무 건전성, 자산규모, 산업 특성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