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30939/art_16956880933885_08ef75.jpg)
[FETV=임종현 기자] 카드업계가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요청에 2조원이 넘는 통 큰 금융지원책을 내놨다.
금액만 따지면 금융업권 중 가장 큰 규모로, 카드사들은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총 2조157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업권 내 신호탄은 우리카드가 가장 먼저 끊었다. 우리카드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6월 29일 카드업계 최초로 우리카드를 방문했을 당시 22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방안의 지원책을 내놨다.
우리카드를 시작으로 이복현 금감원장이 잇따른 카드사 방문에 카드사들은 줄줄이 상생금융 보따리를 풀었다. ▲신한카드 4000억원 ▲현대카드 4000억원 ▲KB국민카드 3857억원 ▲롯데카드 3100억원 ▲하나카드 3000억원 등이다.
카드사들의 상생금융 보따리 안에는 ▲취약차주 채무 정상화 프로그램 운영 ▲대출금리 인하 ▲대출 상환기관 연장 및 소상공인에 대한 카드 이용금액 캐시백 ▲신용대출 금리우대 프로그램 ▲마케팅·영업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카드사가 발표한 상생금융 규모가 앞서 시중은행이 밝힌 규모를 앞질렀다. 시중은행이 밝힌 상생금융 지원 규모는 8000억원대로 카드사에 비해 한참 모자라는 수준이다.
다만 카드사는 은행과 달리 총 한도를 기준으로 지원 규모를 계산했기 때문에 취약계층 등에게 돌아가는 실질적인 혜택은 이보다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감원이 지난 24일 발표한 ‘금융권 상생금융 추진성과 및 향후계획’에 따르면 금융권 상생금융으로 소비자들이 받게 될 혜택이 총 1조1479억원에 달한다. 은행권이 9524억원, 여신전문금융권이 1955억원 등 규모로, 혜택 대상이 되는 소비자 수는 174만명에 달한다.
여전업권은 목표치의 16%에 달하는 313억원을 집행했다. 구체적으로 연체차주 지원에서 172억원, 취약계층 지원은 118억원, 중소기업 등 지원은 23억원 수준의 소비자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카드업계가 지난 달부터 본격적으로 상생금융 방안을 시행했기 때문에, 집행률을 이달 들어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삼성·BC카드는 아직 상생금융 지원 행보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 상생 가능 방안을 두고 저울질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카드는 향후 상황을 지켜본다는 입장이고, BC카드는 타 카드사와 사업 구조가 다르므로 할 수 있는 상생 가능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에 기조에 발 맞춰 지원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 한도로 지원 규모를 정한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