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세아 소속 ㈜세아창원특수강이 스테인리스 강관 재인발 업체인 계열사 ㈜CTC에게 원소재인 스테인리스 강관을 다른 고객사들 대비 상당히 낮은 가격으로 부당 판매 적발해 고발키로 했다. 재인발이란 강관의 외경과 두께를 줄이기 위해 작은 구멍을 통해 강관을 잡아당겨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25일 공정위에 따르면 세아를 상대로 내부거래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 및 과징금 32억원을 잠정 부과했다고. 또 지원 주체인 ㈜세아창원특수강을 고발키로 결정했다고 공정위는 전했다.
세아는 특수강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하는 상호출차제한기업집단으로 분류된다. 올해 기준 자산총액 11조7000억원으로 계열사 28개, 자산총액 기준 재계 42위로 평가된다.
㈜세아창원특수강은 선재, 봉강, 강관 등 다양한 형태의 스테인리스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다. CTC는 ㈜세아창원특수강으로부터 원소재인 스테인리스 강관을 구매해 이를 재인발한 후 판매하는 회사다.
세아창원특수강은 CTC가 세아 그룹에 편입되기 전부터 CTC에게 스테인리스 강관을 판매해 왔는데 총수일가 이태성의 개인회사 ㈜HPP가 ㈜CTC를 지난 2015년 11월 인수하자 그 직후인 2016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CTC의 수익 개선을 위해 자신이 공급하는 스테인리스 강관을 타 경쟁사 대비 상당히 낮은 가격으로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HPP는 2014년 특수관계인 이태성이 투자사업, 경영컨설팅업 등을 사업 목적으로 설립한 회사다. 현재까지 이태성 및 배우자가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다.
세아창원특수강은 CTC에게 상당히 유리한 물량할인(QD) 제도를 신설해 이를 통해 CTC에게 최대 할인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CTC에게 스테인리스 강관을 저가로 판매했다.
세아창원특수강은 CTC와 사전 협의를 통해 이 사건 QD를 설계했다. 이를 통해 CTC가 구매하는 품목만을 대상으로 사실상 CTC만이 달성 가능한 물량 수준에서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의 최대 할인구간이 설정됐다.
이러한 지원행위로 인해 세아창원특수강의 CTC에 대한 영업이익률은 크게 감소했다. CTC가 계열회사로 편입되기 전인 2012년~2015년 기간 동안에는 영업이익률이 20~30% 수준을 유지해왔다. 그런데 지원 행위 직후인 2016년에는 영업이익률이 –5%로 급감했다.
세아창원특수강은 스테인리스 강관 저가 판매를 통해 CTC에게 26억5000만원의 과다 경제상 이익을 제공했다. 26억5000만원의 지원금액은 이 사건 지원기간 동안, CTC의 매출총이익 81억 원의 32.6%, 영업이익 43억원의 61.3%에 이르는 등 CTC의 이익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사건 지원행위로 인해 CTC는 타 경쟁사 대비 상당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게 되면서 매출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지원행위 이전인 2015년 92억원이던 매출은 지원기간 동안인 2016년 153억원, 2017년 263억원 등으로 크게 상승했다. 2018년부터는 동종업계 매출 1위 사업자가 됐다.
공정위는 "이번 조치는 대기업집단 계열사들이 특수관계인 개인회사를 지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특수관계인에게 부를 이전시키고 특수관계인의 계열회사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시킨 행위를 적발 및 제재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QD 제도라는 외형만을 갖췄을 뿐 계열사 지원을 목적으로 설계 및 시행되는 등 그 자체가 합리성을 결여한 것이라면 부당내부거래에 해당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