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배터리 3사, 中 CATL 파상공세에도 성장세…세계 3, 5, 7위 차지

 

[FETV=박제성 기자] K-배터리의 글로벌 사용량이 전년동기 대비 늘었다. 또 올 1~7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EV)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약 362.9GWh로 전년 동기 대비 49.2% 성장했다.

 

5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K-배터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국내 3사의 글로벌 점유율은 23.5%로 전년 동기 대비 1.7% 하락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3사 모두 성장세를 나타냈다.

 

각 사 별로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53.2%(51.4GWh) 성장해 3위를 기록했다. SK온은 16.3%(19GWh), 삼성SDI는 32%(15GWh) 성장률과 함께 각각 5위와 7위를 기록했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성SDI는 리비안 R1T, BMW iX/4, 피아트 500e가 높은 판매량을 기록해 성장세를 이어갔다.

 

SK온은 현대 아이오닉5, 기아 EV6, 포드 F-150의 견조한 판매량으로 인해 성장세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Y, 폭스바겐 ID. 3/4, 포드 머스탱 Mach-E 등 글로벌 베스트셀러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이어져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를 탑재한 현대 IONIQ6와 코나(SX2)의 해외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향후 LG에너지솔루션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한다.   

 

일본 업체 중 유일 톱 10 안에 이름을 올린 파나소닉은 올해 배터리 사용량 26.6GWh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8.2% 성장했다.

 

파나소닉의 경우 테슬라의 주 배터리 공급사 중 하나로 북미 시장의 테슬라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급격한 판매량 증가를 보인 테슬라 모델 Y가 파나소닉의 성장세를 견인했다. 최근 미국에서 한동안 판매 중단됐던 모델3 롱레인지 모델이 다시 판매되기 시작했다. 해당 차량에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되는 것으로 알려져 파나소닉의 시장 점유율 변화에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의 CATL은 전년 동기 대비 54.3% 성장했다. 전세계 배터리 공급사 중 유일 3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해 글로벌 1위 자리를 유지했다. 특히 중국 내수 시장을 넘어 해외 진출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CATL은 유럽과 북미지역에도 급성장하고 있다.

 

CATL의 배터리는 테슬라 모델 3와 Y를 비롯해 광저우자동차 아이온 Y, 상하이자동차 뮬랜과 같은 중국 내수 시장의 주력 승용 전기차 모델들과 중국 상용차 모델에 다수 탑재돼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BYD는 배터리 자체 공급 및 차량 제조 등 수직 통합적 SCM(공급망) 구축을 통한 가격 경쟁력 우위로 중국 내수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통해 중국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 가까운 성장을 보였다. 최근 중국 외 아시아, 오세아니아와 유럽지역에 주력 모델인 Atto 3(유안 플러스)를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SNE리서치는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에 이어 한국도 이차전지 분야가 포함된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에 로드맵을 제시했다"면서 "이차전지의 성능 경쟁력과 가격 경쟁력 향상을 위한 육성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안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이차전지 산업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배터리 3사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배터리 공장 증설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K-배터리 3사의 시장 주도권 유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