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SK이노베이션 "글로벌 그린에너지기업 비결은 'R&D 경영'

SK이노 ‘R&D 경영 40주년’ 성과 분석, 컨퍼런스 발표
국내 정유기업  글로벌 그린 에너지로 키운 원동력, ‘R&D 경영 리더십’ 결론
R&D 경영이 화학, 윤활유, 분리막, 배터리 및 바이오 사업 등 확대
‘연구개발 없이는 성장 불가’ 주장, 최종현- 최태원 회장의 강력한 리더십
R&D 중심 R&BD, MPR 경영 시스템 도입
전사적 R&D경영 시스템, 문화구축

 

[FETV=박제성 기자] 국내 최대규모의 에너지 기업인 SK이노베이션이 정유회사에서 시작해 종합에너지를 넘어 글로벌 그린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 비결을 ‘최고 경영층의 강력한 리더십이 이끈 'R&D(연구개발) 경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경영 전문가인 서울대 경영학과 송재용 교수와 카이스트 경영학과 이지환 교수가 ‘SK이노베이션의 40년 R&D 경영’을 공동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두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지난 28일 오후 SK서린빌딩 3층 수펙스홀에서 컨퍼런스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SK식 R&D경영, 국내 정유사를 글로벌 그린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

 

교수들은 이날 발표에서 우리나라에 안정적인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내 정유회사를 종합에너지 기업을 넘는 글로벌 수준의 그린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시킨 것은 강력한 리더십의 혁신적인 R&D 경영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R&D 경영이 단기적으로는 원유의 안정적이 공급원이 없는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정유기업 경쟁력을 갖게 했을 뿐 아니라 수직계열화를 완성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교수들은 분석했다.

 

교수들은 특히, 정유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확보한 다양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화학, 바이오 및 윤활기유, 분리막, 배터리 등 현재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핵심 사업을 개발, 사업화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같은 경쟁력이 SK이노베이션이 미래형 그린에너지와 소재 기업으로 대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었다고 교수들을 분석했다. 

 

SK이노베이션의 R&D 경영 40년을 분석한 교수들은 SK이노베이션만의 독특한 R&D 경영 모델인 ‘SKinno웨이 R&BD’를 도출, 이를 4E로 부른다. 즉 엔터프리뉴어십(경영철학과 도전), 익스플로이테이션(기존사업 경쟁력 강화), 익스플로레이션(미래형 신사업개발) 및 엑스퍼타이즈(기술역량) 등으로 만들어진 혁신모델을 제시했다.

 

교수들은 SK이노베이션 R&D를 분석한 결과 ▲제품 품질, 원가 경쟁력 강화 ▲ 공정개선 및 최적화 ▲촉매/합성/분석등의 공통역량 축적 등에서 뛰어날 뿐 아니라, 사업개발, 즉 경영개발(BD)를 주력으로 하는 R&BD 구조를 갖고 있는 점이 가장 큰 차별적 우위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구조로 만들어진 배터리, 분리막, 윤활기유, 넥슬렌, 신약개발(現 바이오사업) 등이 대표적인 사업들로, 현재 SK이노베이션과 SK그룹의 중요한 기업가치를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구조는 교수들이 국내 에너지기업으로는 최초로 기술연구소 시스템을 갖춘 SK이노베이션의 R&D가 새로운 기업가치를 창출하는데 성공할 수 있는 요인으로 제시한 차별적 우위 1순위다. 교수들은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R&D를 이끌어가는 강력한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했다고 말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로 최종현 선대회장이 유공인수 직후 R&D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종합에너지 기업으로의 전환 선언(1982)에 이어 기술개발연구소를 설립(1983)한 것을 예로 제시했다. SK이노베이션의 R&D 경영 40주년은 이를 기점으로 산정한 것이다.

 

이와 함께 장시간 투자를 필요로 하는 연구개발은 대를 이어서 일관성 있게 진행했다. 선대회장 때 시작된 배터리 사업(1983년), 바이오 사업(1989년)은 최태원 회장이 진두지휘해 현재 SK그룹의 핵심 미래사업인 BBC(배터리, 바이오, 칩-반도체)를 완성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교수들은 MPR도 강조했다. 마케팅(영업), 프라덕션(생산) 및 R(R&D)를 일컫는 용어로, R&D가 생산과 영업과 늘 함께 움직여서 사업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미다. 

 

1989년 만들어진 SK만의 독특한 경영법이다. 이 경영법은 1995년 MPR/S/T(MPR, S-스텝 T-톱), 즉 지원부서와 최고경영층이 혼연일체가 되야한다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마무리로 교수들은 SK이노베이션은 뉴 아이덴티티(신규 정체성)인 그린 에너지 & 머티리얼즈 컴퍼니(친환경 에너지 & 소재 회사)’ 완성을 위한 핵심 실행방안으로 R&BD 경영 강화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미래형 그린 에너지와 소재 사업의 경우 R&D 역량도 강조했다. 미국 첨단기술의 상징인 실리콘밸리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설립한 것은 이미 그 역할을 시작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SK이노베이션의 미국 R&D거점 확보는 1989년 미 동부에 바이오 사업을 위해 설치한 이래 2번째다.

 

SK이노베이션은 이미 지난 2021년부터 기술혁신연구원을 환경과학기술원으로 명칭을 바꿨다. SK이노베이션 계열 연구인력을 대폭 확충해 2016년 말 대비 3배 수준인 약 1800명을 확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