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SK온이 에코프로비엠, 포드 등과 손잡고 캐나다 현지에 양극재 소재고장을 건설한다. SK온은 이 공장을 짓기 위해 사업비 1조2000억원 가량을 투입할 계획이다.
18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SK온과 에코프로비엠은 미국 글로벌 완성차 업체인 포드와 함께 캐나다 퀘벡주에 양극재 소재 공장을 건설한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는 배터리 전압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3사는 캐나다 베캉쿠아시 산업단지 내 27만8000㎡(약 8만4000평) 부지에 1조2000억원을 투자해 합작공장을 짓기로 했다. 연산 4만5000톤 규모의 합작공장은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한다.
이번 합작 공장은 에코프로비엠이 2월 설립한 현지 법인 ‘에코프로 캠 캐나다’가 공장을 운영한다. SK온과 포드는 지분을 투자키로 했다. 이번 합작공장은 캐나다 정부에서도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캐나다 연방 정부와 퀘벡 주 정부는 총 6억4400만 캐나다 달러(약 6400억원)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다.
3사는 지난해 7월 양극재 생산시설 투자의향서를 체결한 뒤 공장 건립을 위한 제반 사항에 대해 협의했다. 합작공장은 북미를 거점으로 밸류체인의 역량을 십분 발휘한다는 구상이다. 3사는 소재인 양극재를 시작으로 배터리 완성품, 완제품인 전기차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의 공장으로 만들 방침이다. 현지의 밸류체인이 구축될 경우 안정적 공급망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일찌감치 3사는 원활한 파트너십을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SK온은 에코프로비엠이 공급하는 양극재로 NCM9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 포드는 대형 전기 픽업트럭인 F-150 라이트닝을 생산하고 있다. 캐나다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따른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여건을 갖췄다. 캐나다는 미국과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캐나다 현지에서 생산된 양극재는 IRA 핵심 광물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SK온은 현재 북미에서 배터리 공장 2개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를 아우를 경우 총 4개의 공장이 들어서게 된다. 이는 전기차 170만대 이상을 공급할 수 있는 180GWh(기가와트시)를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