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가 2030년쯤 리튬이온배터리의 시장점유율 보다 여전히 미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4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리튜이온배터리(LIB)의 글로벌 공급량은 올해 687GWh(기가와트)에서 2030년 2943GWh로 급증할 전망이다. 다만 전고체 배터리가 양산에 성공하더라도 시장 침투율은 미미할 것이란 분석이다.
2030년쯤 SNE리서치는 LIB의 전체 배티러 시장은 9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2030년 전고체전지 공급량은 131GWh, 시장점유율은 4%대로 전망된다.
전고체전지는 화재 사고로부터 LIB보다 안전성이 높고 에너지밀도도 우수해 '꿈의 배터리'로도 불린다.
이에 K-배터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이 앞다퉈 전고체전지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에 정부도 관련 R&D, 세제혜택·금융 지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
다만 전고체전지는 양산을 거쳐 상용화를 위해서 가장 큰 숙제 중 한 개는 원가경쟁력 확보다. 이로 인해 배터리 업계에선 2030년쯤 돼야 전고체 배터리 본격 상용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SNE리서치는 전망했다.
여기에 더해 리튬이온배터리가 장기간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배터리 시장은 장기간 LIB 위주의 시장으로 전개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동박, 분리막 같은 기존 LIB의 밸류체인(공급망)이 장기간 주류를 차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