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181042/art_15398293112166_c3d006.jpg)
[FETV=오세정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50%로 동결했다. 지난해 11월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인상한 후 11개월째 현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8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전체회의를 열고 이달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50%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키로 했다.
금통위는 작년 11월 6년 5개월 만에 0.2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이후 올해 들어 1월부터 이달까지 7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내렸다.
이주열 총재가 연내 인상 의지를 밝힌 가운데 금융시장에서는 10월이냐 11월이냐를 두고 전망이 팽팽히 엇갈렸지만 한은의 선택은 이달은 아니었다. 성장률과 물가, 고용 등 주요 경기지표 전망치를 모두 하향조정하며 금리를 올리기는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이날 발표하는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현재 연 2.9%에서 연 2.8%, 혹은 연 2.7%로 낮출 것으로 알려졌다. 취업자 증가수는 고용쇼크 장기화를 반영해 18만명에서 10만명 수준으로 확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1.6% 그대로 유지하거나 1.5%로 0.1%p 하향 조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내년 경성장률 전망치도 2.8%에서 하향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경기 여건에서 경제주체들에게 고통스러운 금리인상을 단행하면 부작용이 클 우려가 있다. 9·13 대책으로 부동산 가격 급등세가 일단 멈칫한 점도 한은이 한숨을 돌릴 여유를 만들었다.
이제 관심은 다음 달 금통위로 집중된다. 한은은 금리인상 깜빡이를 켜둔 상태다. 이일형 금통위원이 앞선 두 차례의 회의에서 인상 소수의견을 냈다. 이주열 총재도 최근 잇따라 금융안정을 강조하며 연내 인상 의지를 밝혔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를 비롯한 금융불균형과 한미 금리차 등 금융불안 요인을 우려하며 대응 필요성을 지적했다. 특히 12월에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데 한은이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연말엔 한미 금리역전폭이 1%포인트로 확대된다. 내외금리 차가 확대될수록 자본유출 압력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