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충북 한우농장 일대에 구제역이 발생여파로 한우 도매가격이 상승곡선을 띈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등급 한우 고기 도매가격이 열흘 만에 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방역 조치 강화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입장이다. 공급량 감소로 인한 꾸준한 가격 급등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본다.
21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1등급 한우 고기 도매가격은 지난 19일 ㎏당 1만4395원으로, 구제역 발생 전인 9일 1만3170원과 비교해 9.3% 올랐다.
전 등급 한우 고기의 평균 도매가격을 보면 지난 9일 ㎏당 1만5003원에서 16일 1만6580원까지 올랐다가 19일 1만5162원으로 하락한 상황이다. 정부는 최근 한우 고기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구제역 방역 조치 강화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은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전날까지 전국 우제류(소, 돼지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 농장에서 백신 접종을 완료하도록 했다. 오는 30일까지는 구제역이 발생한 충북 청주시와 증평군뿐 아니라 이와 인접한 대전, 세종 등 7개 시·군에서 소의 반입과 반출을 제한했고 우시장을 폐쇄했다.
최근 정부는 "백신 접종으로 인해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평가하며, 축산물 가격 급등 가능성도 낮다"고 내다봤다.
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지난 17일 "2014∼2019년 매년 구제역이 발생했는데 소 같은 경우 공급에 큰 영향을 줄 정도의 살처분을 한 적이 없다"며 "(올해도) 백신을 접종하고 있기 때문에 살처분 두수가 공급에 큰 충격을 줄 정도로 많이 이뤄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일 이후 현재까지 청주시와 증평군 소재 11개 농장에서 구제역 발생이 확인됐다. 농장에서 기르던 소와 염소 총 1571마리를 살처분했다.
한편 돼지고기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 4일 ㎏당 5688원에서 11일 6380원으로 올랐으나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기준 5744원 수준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