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SK이노베이션, 1분기 매출 19.1조원...영업익 3750억원

정제마진과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마진) 개선효과, 전분기 대비 흑자 전환
전년대비 매출 2조8814억원 '상승', 영업이익 1조2741억원 '감소'
석유사업,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 9360억원 증가한 2748억원
화학사업 영업이익 1973억원 증가한 1089억원
윤활유사업, 판가 조정 및 환율 영향, 영업이익 소폭 감소한 2592억원
석유개발사업, 영업이익 1135억원 달성
배터리사업 분기 최대 매출액 3조3053억원 달성
2분기 이후 美 IRA 수혜 반영 시 수익성 추가 개선 기대

 

[FETV=박제성 기자] SK이노베이션이 4일 개최한 2023년 1분기 경영성적이 매출 19조1429억원, 영업이익 3750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4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62억원, 영업이익은 1조1399억원 증가해 흑자 전환했다. 특히 전년동기 대비로는 매출은 2조8814억원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조2741억원 줄어들었다.

 

SK이노베이션은 “정제 마진과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마진) 개선 효과가 1분기 실적을 이끌었다”며 “이는 석유, 화학사업의 안정적 매출 증대와 영업이익 개선 효과로 나타나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터리 사업은 분기 최대 매출액을 달성해 수익성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 관련 실적의 영향도 있었다. 세전 이익은 분기말 환율 상승으로 인한 환 손실 및 상품 파생이익 축소 영향 등으로 영업외손실이 2187억원 발생해 1563억원을 시현했다. 순차입금은 배터리사업 투자 지출 확대 등으로, 전년 말 대비 1조362억원 증가한 15조5510억원을 기록했다.

 

사업별로는 석유 사업은 전분기 보다 9360억원 증가한 2748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해 흑자 전환했다. OSP(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산유국의 원유 판매 고시 가격)의 하락 영향 등으로 정제마진이 개선, 유가 하락세 완화에 따른 재고관련 손실 축소로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화학사업은 PX 마진 상승, 재고관련 손익 효과 및 고정비 감소로 전분기 대비 1973억 증가한 1089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윤활유사업은 판매경쟁 심화 및 전분기 대비 평균 환율 하락 영향으로 전분기 보다 92억원 감소한 259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석유개발사업 영업이익은 매출증가 및 판관비(판매관리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매출원가 증가 영향으로 전분기와 비교해 31억원 감소한 1135억원을 기록했다.

 

배터리사업은 2022년 신규가동을 시작한 공장들의 램프업(생산능력 증가)에 따라 지속 성장해 전분기 대비 4297억원 증가한 3조3053억의 분기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영업손실은 일회성 비용 증대로 적자폭이 소폭 확대돼 3447억원을 기록했다. 배터리 판매량 증가 및 신규 공장 수율 향상으로 영업이익률은 개선됐다.

 

소재사업은 일회성 비용 소멸, 생산 증가 및 비용 개선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적자규모가 9억원 축소되며 4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분기 석유사업 시황은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본격화 및 여름철 드라이빙 시즌에 따른 석유제품 수요 증가로 양호한 정제마진이 전망된다. 화학사업은 중국의 내수활성화 기대로 PX 스프레드 상승세뿐 아니라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의 스프레드 개선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윤활유 사업은 향후 유가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 확대에도 드라이빙 시즌 도래에 따른 타이트한 글로벌 수급 균형으로 견조한 스프레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사업은 해외 신규 공장의 추가 램프업으로 매출액 및 수익성이 지속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수혜 효과 대한 회계 반영에 따라 추가적인 손익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소재 사업 역시 주요 고객사의 수요 증가로 점진적인 판매 증가가 예상된다.

 

SK이노베이션 김양섭 재무부문장은 “올해 변동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운영 최적화를 통한 수익성을 지속 개선하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할 계획”이라며 “청정 에너지 생산, 탄소배출 감축 및 순환경제 중심의 친환경 포트폴리오 개발과 기업가치 제고 중심의 경영활동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