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대한상공회의소]](http://www.fetv.co.kr/data/photos/20230413/art_16804165067114_cb8ea5.png)
[FETV=김수식 기자]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분야 기업들이 투자 확대 필요성을 느끼지만 자금 확보에 곤란을 겪고 있어 적기 투자를 위해 자금 사정 개선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 첨단전략산업에 속한 기업 110곳의 자금 사정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 10곳 중 7곳은 필요 투자자금의 60%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27.3%는 투자 집행에 필요한 자금 규모 대비 현재의 자금 확보 비율이 40∼60%라고 답했다. 기업의 21.8%와 20.9%는 각각 투자자금 확보율이 20% 미만, 20∼40% 수준이라고 답했다.
지난해보다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기업이 40%로 호전됐다는 답변 14.5%보다 3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려움 겪는 요인(복수응답)으로는 직접금융 분야의 경우 고금리 시장 상황과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회사채 발행 어려움(66.3%), 투자심리 위축 등 주식시장 침체에 따른 주식발행 어려움(41.8%) 순이었다.
다만, 대다수 기업이 투자를 확대해야 하는 시기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투자 방향성에 대해서는 시설투자(60%), R&D투자(72.7%), 인력투자(64.5%) 등 모든 분야에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국내 투자를 견인하기 위한 정부 정책(복수응답)으로는 투자세액 공제(57.3%), 국가 보조금(51.8%), 인프라 구축 지원(45.5%), 신속한 인허가 처리 지원(35.5%) 등을 꼽았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첨단제품의 원가경쟁력이 뒤처지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정책금융 확대,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정책 포트폴리오도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