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유통


하이트진로 김인규 “테라‧켈리 연합작전…맥주시장 1위 탈환할 것”

 

[FETV=김수식 기자] 소주 1위를 일궈낸 참이슬과 진로의 연합작전 공식을 적용, 하이트진로가 테라와 함께 신제품 ‘켈리’(Kelly)를 앞세워 맥주 1위 재탈환에 도전한다.

 

하이트진로는 30일 서울 성북구 삼청각에서 미디어데이를 열고 새로운 맥주 켈리를 소개했다. 김인규 하이트진로 대표이사는 이 자리에서 국내 맥주시장 1위 탈환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김 대표이사는 “테라를 출시하고 임직원 모두가 테라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그 결과 테라는 대한민국 대표브랜드로 선장했다”면서도 “코로나19 확산과 전 세계적인 경기 불황 등으로 국내 맥주 시장 1위 탈환은 아직 진행 중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켈리는 레귤러 맥주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와 요구를 면밀히 관찰하고 오래 연구해서 만든 제품”이라며 “강력한 돌풍을 일으켜 소주에 이어 국내 맥주시장에서도 1위 탈환을 이뤄내겠다”고 피력했다.

 

켈리는 존 라거 맥주와는 완전히 차별화된 원료와 공법을 적용했다. 덴마크에서 북대서양의 해풍을 맞으며 자란 프리미엄 맥아만을 100% 사용하고 두 번의 숙성 과정을 거친 것이 특징이다. 이름 켈리는 ‘KEEP NATURALLY’의 줄임말로 인위적인 것을 최소화하고 자연주의적인 원료, 공법, 맛을 추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켈리는 라거 맥주의 공존하기 힘든 두 가지 맛인 부드러움과 강렬한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면 어떨까라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상반된 두 가지 속성의 조화를 위해, 지난 3년간 지구상에서 가장 부드러운 맥아를 찾고 완벽한 균형의 주질을 만들어내는 공법을 연구, 개발하게 됐다. 그 결과, 입에 부드럽게 닿아 목으로 넘어갈 때 강렬한 탄산감을 느낄 수 있는 ‘라거의 반전, 켈리’가 탄생했다.

 

하이트진로는 전 세계 맥아를 탐구한 끝에 북유럽 천혜의 땅, 덴마크에서 그 해답을 찾았다. 1년 내내 북대서양 유틀란드 반도의 해풍을 맞아 부드러운 특성을 지닌 보리이며, 여기에 일반 맥아보다 24시간 더 발아시키는 ‘슬로우 발아’를 통해 켈리만의 더욱 부드러운 맛을 실현했다.

 

또한, 7℃에서 1차 숙성한 뒤, -1.5℃에서 한 번 더 숙성시켜 강렬한 탄산감을 더한 ‘더블 숙성 공법’을 통해 최적의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완벽한 맛의 균형을 찾아 두 가지 속성의 맛이 공존하는 주질을 구현했다.

 

패키지 역시 기존 제품과 차별화했다. 국내 레귤러 맥주 최초로 ‘앰버 컬러 병을 개발해 적용한 것이 눈에 띈다. 병 모양 또한 장인이 정성껏 깎아낸 듯한 디테일이 눈에 띈다. 부드러움을 강조한 병 어깨의 곡선과 병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직선으로 강렬함을 표현해 제품의 특징을 잘 담아냈다.

 

켈리는 오는 4월 4일 첫 출고 이후 전국 대형마트, 편의점 등 가정 채널과 음식점, 유흥업소 등 유흥 채널에서 동시 판매될 예정이다. 출고 가격은 기존 맥주와 동일하고 알코올 도수는 4.5%다.

 

 

오성택 하이트진로 마케팅실 상무는 “국내 주류회사 최초로 100주년을 앞둔 대한민국 대표 종합주류기업으로서 맥주 본질에 집중, 진정성 있는 맥주를 소비자에게 선사하고자 3년여간의 철저한 준비와 검증을 통해 켈리를 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오 상무는 “이번 신제품은 원료, 공법, 패키지까지 기존 라거에 대한 모든 편견을 파괴하는 ‘라거의 반전’이라는 콘셉트로 탄생했으며, 소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전개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또 켈리의 목표 판매량을 최단 기간 두 자리수 MA(시장 점유율)을 목표로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