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건설·부동산


전국 미분양 7만가구 '위험선' 넘었다…10년만 최대치

[FETV=김진태 기자] 지난달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가 7만5000가구를 넘겼다. 정부가 위험선으로 언급했던 6만2000가구를 두 달 연속 넘어선 가운데 전달보다 10.6% 미분양이 늘어났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5359가구로 집계됐다. 전월 6만8148가구 대비 7211가구(10.6%) 증가했다. 수도권은 1만2257가구로 전월(1만1076가구) 대비 1181가구(10.7%) 늘었고 지방은 6만3102가구로 전월(5만7072가구) 대비 6030가구(10.6%) 증가했다.

 

금리인상으로 주택 시장이 침체되면서 전국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4월(2만7180가구)부터 9개월째 늘고 있다. 현재 미분양 물량 수준은 20년 장기 평균치인 6만2000가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국토부는 6만2000가구를 위험선으로 보고 이를 넘어서면 미분양 증가 추세가 장기화 될 수 있다고 본다.

 

1월 미분양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4분기 분양 물량이 늘어나면서 발생한 미분양이 신고되면서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분양물량은 지난해 1분기 6만5000가구에서 5만1000가구, 7만2000가구, 4분기 9만9000가구로 늘어났다.

 

다만 지난해 10월부터 매달 1만가구씩 쌓이던 증가속도는 다소 완만해졌다. 미분양 물량은 10월 4만7217가구→5만8027가구→6만8107가구에 이어 지난달 7만5000선을 넘었지만, 증가폭은 7200가구로 둔화됐다.

국토부는 정부 차원에서 미분양 매입에 나설 단계는 아직 아니라고 보고 있다. 올해 초 1·3 대책을 통해 규제를 대폭 완화한 만큼 최대한 시장에서 해소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건설업계가 할인분양 등 자구책으로 미분양을 해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미분양을 정부가 떠안을 단계는 아니다"라고 수 차례에 걸쳐 선을 그었다. 원 장관은 "현 미분양 수준은 건설사의 가격할인 등 자구 노력으로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는 부분이 크다"며 "악성 미분양인 준공 후 미분양은 아직 장기평균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할 수준이 안 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현재 분양시장이 선분양제(완공 전 주택분양을 시행하는 제도)를 취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진짜 문제라고 보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은 7546가구로 전월(7518가구) 대비 28가구(0.4%) 증가했다. 여전히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2019년 2만가구에 육박했던 준공 후 미분양은 2021년 9월 7000가구대로 내려온 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한편, 거래절벽 상황도 지속됐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 주택매매거래량은 2만5761건으로 집계됐다. 전월 2만8603건 대비 9.9% 줄어든 수치다. 이는 2013년 1월(2만7070건) 이후 10년 만에 가장 적은 규모다. 2020년 1월(10만1000건) 대비 5분의 1 수준, 지난해 동월(4만2000건) 대비 60%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