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7.2℃
  • 구름조금강릉 15.6℃
  • 맑음서울 18.5℃
  • 구름조금대전 18.0℃
  • 맑음대구 18.8℃
  • 구름많음울산 17.8℃
  • 맑음광주 19.8℃
  • 구름조금부산 20.7℃
  • 구름조금고창 19.9℃
  • 맑음제주 21.0℃
  • 맑음강화 16.6℃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7.9℃
  • 구름조금강진군 20.9℃
  • 맑음경주시 19.9℃
  • 맑음거제 19.4℃
기상청 제공



4대 금융 '성과급 잔치'에 묻힌 카드사 연체금 1조

작년 12월 '1개월 이상' 연체금 전년比 44% 급증...신한〉국민〉우리〉하나 순
충당금 확충 속 늘어난 부실위험...금융지원 종료 앞두고 '건전성관리' 시험대 

 

[FETV=권지현 기자] 국내 4대 금융지주 계열 카드사 고객들이 갚지 못한 금액이 1년 새 3000억원 가까이 불어 1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대 금융의 은행, 카드사 '성과급 잔치' 논란과 함께 '고금리'가 만들어낸 어두운 단면이 재차 드러났다는 지적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하나·우리카드 등 4개 카드사의 작년 12월 말 기준 연체금은 1년 전(6593억원)보다 43.8%(2888억원) 급증한 9481억원으로 집계됐다. 1조원에 육박한 연체금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체금'은 고객이 1개월 이상 상환하지 못하고 있는 일시불·할부, 일반신용대출, 현금서비스(단기대출), 카드론(장기대출), 리볼빙, 자동차 등 할부금융, 리스 대금 등을 말한다.

 

카드사별로는 신한카드가 412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2021년 말 2876억원이던 연체금은 1년 만에 43.5%(1252억원) 늘어나 처음으로 4000억원을 돌파했다. 국민카드가 전년 동기(2057억원)보다 21.2%(436억원) 증가한 2493억원으로 뒤를 이었으며, 하나카드는 35%(280억원) 불어난 1080억원이었다. 우리카드는 1년 전보다 107%(920억원) 급증한 1780억원을 기록했다. 4곳 모두 역대 최대 수준이다.

 

 

카드사 연체금이 1년 새 확 불어난 데는 '고금리'가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기준금리를 잇달아 올리자 카드사들은 신용대출 평균 금리를 10% 중후반대까지 인상했다. 같은 기간 차주들이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무이자할부 등 고객 서비스는 대부분 줄였다.

 

익명을 요구한 A금융지주 카드사 관계자는 "고금리로 인해 대금 결제를 미루고 있는 고객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급증했다"면서 "물가 인상, 경기침체 등도 맞물리면서 서민 부담이 가중돼 연체금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금융지주 카드사 관계자는 "고금리 여파로 대출금리가 10% 중반까지 상승한 점이 연체금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이들 연체금이 장기 채무로 갈지 여부 등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고금리에 허덕이는 차주가 늘어 카드사 4곳에서만 1조원에 육박한 연체금이 발생한 사실은 이들 카드사들의 최근 '돈 잔치'와 비견되면서 '씁쓸함'을 더하고 있다. 

 

카드사 4곳의 작년 당기순이익은 1조4170억원에 달한다. 1년 전(1조5454억원)보단 9.1%(1284억원) 줄었으나 조달시장 악화, 경기둔화 등을 고려하면 선방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카드사들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성과급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역시 고금리 속 호실적을 거둔 금융지주 은행들은 임금 인상률과 성과급 지급률을 크게 올려 고객의 경제적 어려움을 외면한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한편 1개월 이상 밀린 연체금이 사상 최고액을 경신하면서 카드사 4곳의 연체율이 일제히 상승, 여신 신용리스크도 덩달아 커졌다. 올해 9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 대한 원금·이자 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가려져 있던 대출 부실이 수면 위로 드러날 것이라는 우려와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관측 등이 더해지면서 카드사들의 '건전성 관리'가 시험대에 올랐다.

 

카드사들은 일단 부실 위험이 커질 것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늘렸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은행과 비교하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일례로 작년 12월 말 기준, 1년 전보다 연체율이 0.24%p 오른 신한카드는 전년보다 대손충당금을 26.6% 더 쌓았다. 같은 기간 연체율이 0.03%p 상승한 신한은행은 충당금을 79.3% 대폭 늘렸다.

 

B금융지주 카드사 관계자는 "전년보다 충당금을 늘려 연체금 증가 등으로 인한 부실 위험을 최소화하려 했다"면서 "다만 이번 연체금 증가분은 자산 증가액에 비하면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연체율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고, 금융당국도 건전성 관리 강화를 주문한 상태라 지속적으로 (연체금 등을) 모니터링 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