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김진태 기자] 자율주행 원격지원 기술이 수년 내 상용화할 전망이다. 자율주행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외부에서 모니터를 보면서 무인 차량을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현대모비스는 이스라엘 스타트업 오토피아와 공동으로 원격지원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원격지원(RMA·Remote Mobility Assistance) 솔루션은 무인 모빌리티를 원격으로 이동하거나 경로를 재수정하는 기술이다. 로보택시 사업자가 운행현황을 모니터링하다가 돌발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권을 넘겨받고 상황실에 있는 관리자가 화면을 보면서 차량을 제어하게 된다.
RMA는 레벨4 이상의 자율주행 시장을 선제적으로 겨냥한 신기술이다. 원격지원이 일종의 고객센터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무인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마다 돌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고객 서비스망을 구축하기에는 다소 비효율적인 만큼 RMA가 이를 보완하는 기술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게 현대모비스의 설명이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하는 RMA에는 고성능 전자제어장치(ECU)를 기반으로 5G 통신모뎀을 탑재할 예정이다. 모빌리티 사업자마다 고객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능을 설계한다.
차량 관련 서비스로는 무선 업데이트(OTA·Over the Air) 및 차량 원격제어와 원격진단, 차량들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릿(Fleet) 서비스 등도 포함된다. 이스라엘 보안 전문가들이 설립한 오토피아는 원격 제어에 특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게 된다.
현대모비스는 완전 자율주행 단계에 진입하면 RMA처럼 무인 모빌리티 시장의 서비스 영역에서도 사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RMA가 상용화되면 고객군이 로보택시나 로보셔틀 사업자를 비롯해 대규모 무인 운송수단을 운영하는 물류업체, 건설과 농기계, 소형 모빌리티 업체 등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현대모비스는 내년부터 오토피아와 공동으로 자율주행 원격지원 기술을 고객사에 알리는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