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제성 기자] 카카오톡 기능 장애가 발생한 지 이틀이 지난 가운데 상당 부분 정상화 됐지만 여전히 일부 먹통 상황이다. 사태가 완전히 수습되고 있지 않자 카카오 측이 결국 비상대책위원회라는 조직 혁신의 카드를 17일 꺼내들었다. 비상대책위원회의 기능은 보상대책 마련 등의 창구 역할 등을 담당한다.
카카오 대규모 기능 장애가 역대 최장시간을 기록하는 가운데 완전 복구까지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 15일 판교 SK C&C 건물 지하3층 화재로 22일 카카오 대부분 기능은 복구완료 됐지만 회사 업무 용도로 활용하는 ‘카카오통합 다음 이메일 송·수신’ 등은 여전히 먹통이다.
여기에 더해 일부 이용자들로 하여금 ▲사진·동영상 속도저하 현상 ▲카카오맵 길찾기 로드뷰 기능 오류도 전해지고 있다. 물건 등을 사고 팔 때 영세 자영업자가 주문을 접수받어 고객 문의에 대응할 때 이용하는 카카오 채널도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
특히 이번 카카오톡 화재 사건으로 개인, 소규모, 사업자별 피해 매출 규모가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향후 피해보상 규모에 대한 사후문제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17일 카카오는 홍은택 카카오 공동체 센터장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위임했다. 카카오 측은 비상대책위원회를 3개 분과로 나눴다. ▲원인 조사 소위 ▲재난 대책 소위 ▲보상 대책 소위가 있다.
카카오 측은 특히 신속한 소비자 피해 대책 마련을 위해 별도의 채널을 마련할 방침이다. 해당 채널을 통해 세분화 한 각각의 피해 신고 접수를 받겠다는 방침이다.
신고를 받은 내용을 기반으로 보상 대상·범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신고접수된 내용에 사실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수집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유료서비스와 무료서비스의 기준과 피해 증명 방법·절차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소상공인연합회도 ‘카카오 피해 접수센터’를 만들어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카카오 먹통으로 인한 통신 사기기법인 스미싱(문자메시지에 악성코드를 주입한 금융사기수법)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신속한 과제로 꼽힌다.
이에 대해 카카오는 장애 복구 과정에서 별도의 파일 설치를 요구하거나 새로운 사이트에 로그인을 요구하지 않는다면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누리집과 안전안내문자를 통해 스미싱 피해 예방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민간 데이터센터(IDC)도 방송ㆍ통신 시설처럼 국가재난관리시설로 지정해 관리하는 방안을 재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정확한 화재 발생 원인과 책임 소재를 따지기 위해 김범수 전 카카오 이사회 의장,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 최태원 SK 회장을 오는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국감장에 증인으로 채택했다..
이번 SK C&C 센터 화재 사고로 지난 16일 경기남부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전기안전공사 등이 1차 감식을 진행한 데 이어 17일 오후 2차 감식이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