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재계


지난해 리콜 건수 3470건, 57% 증가…자진리콜 187% 늘어

 

[FETV=성우창 기자] 지난해 리콜(결함 보상) 건수가 1년 전보다 50% 넘게 늘어 3000건을 넘어섰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소비자기본법 등 19개 관련 법률에 따른 리콜이 총 3470건 이뤄졌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전년(2213건) 대비 1257건(56.8%) 급증한 것이다.


리콜은 물품에 결함이 있어 소비자의 생명·신체·재산에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경우 물품을 제조·수입·판매한 사업자가 수거·파기·수리·교환·환급 등 방법으로 바로잡는 행위를 의미한다. 작년에는 안전·표시기준 등을 위반한 방향·탈취제품, 캔들(양초), 세정제품, 어린이용 바닥 매트, 장난감 자동차, 마스크 패치, 허가 없이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원료 사용량을 임의로 바꾼 의약품,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전기자동차 등이 리콜됐다.


리콜 건수는 2011년 826건에서 2016년 1603건, 지난해 3470건으로 5년마다 약 2배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자진 리콜이 1306건으로 전년보다 186.8% 늘었고,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명령(1678건)과 권고(486건)에 따른 리콜도 각각 35.2%, 178.0% 늘었다.


품목별로 보면 화학 제품류(916건) 등 공산품이 전년 대비 87.7% 늘어 1719건을 차지했고, 이어 한약재와 의약외품을 포함한 의약품(807건, 361.9% 증가), 자동차(314건, 121.7% 증가), 의료기기 (284건, 1.7% 감소) 순으로 많았다.


공정위는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각 정부 부처도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법을 집행하면서 리콜 건수가 늘었다"며 "화학제품 관리 대상 범위 확대와 신고 포상금제 도입, 해외 리콜 정보 수집 기관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미인증 제품과 허위 인증 제품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각 부처에 흩어진 안전 인증 정보를 '소비자24'로 통합해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