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신진 기자] 토스뱅크가 고객들의 ‘금융 주권’인 금리인하 기회를 먼저 안내한 결과, 시중은행 대비 금리인하요구 건수가 약 40%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인하가 승인된 고객들은 최초 대출시보다 5%포인트(p) 가량 저금리 혜택을 받거나 신용점수가 최대 379점이나 개선되는 등 이른바 ‘크레딧 빌딩’ 효과도 얻었다.
5일 토스뱅크에 따르면, 출범 직후인 지난해 10월 5일부터 지난달까지 전체 금리인하요구 건수가 총 2만491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말 5대 시중은행이 6개월 간 고객들로부터 받은 평균 금리인하 신청건수(1만7809건) 대비 40% 가량 높다. 이는 신규 은행인 토스뱅크가 지난해 대출영업을 9일 만에 중단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토스뱅크는 고객들에게 선제적으로 금리인하 요구권을 제안한 덕분으로 분석했다. 토스뱅크에서 금리인하를 신청한 고객 5명 중 1명 이상(22%)이 혜택을 받았으며, 특히 중저신용 고객의 경우 5명 중 2명 이상(42.4%)의 요구가 수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토스뱅크는 금리인하를 금융소비자로서의 ‘고객의 주권’이라고 판단, 신용도가 개선된 고객에게 이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 대출 계약 체결 후 취업이나 승진, 이직, 성실상환 등 신용점수가 상승된 사실을 근거로 고객이 발동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다.
그동안 고객들은 은행 앱에서 숨겨진 항목을 어렵게 찾아들어가 신청하거나,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었다. 신청 후에도 직접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아 신용도 개선 사실을 스스로 입증해야 하는 등 어려움도 있다. 하지만 토스뱅크 고객들은 신용도 개선 여부를 알지 못하더라도, 앱 내에서 ‘금리 낮아질 때 알림받기’에 동의하면 토스뱅크로부터 먼저 제안받을 수 있다.
금리인하가 승인된 고객들은 5%p 이상 금리가 낮아지는 효과를 누렸다. KCB 기준 최대 379점(과거 기준 5개 등급)까지 신용도가 개선되며, ‘크레딧 빌딩’ 효과도 발생했다. 금리인하 승인 고객 가운데 3명 중 1명(33%)은 신규 대출 후 일주일 이내 신청했음에도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특히 중저신용 고객들의 경우 토스뱅크에서 대출을 받은 뒤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 제2, 제3금융권의 대출을 상환하는 등 두드러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후 고객들이 금리인하를 신청, 토스뱅크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신용도 개선 효과가 발생했고, 이자비용 부담 절감과 함께 대출 한도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토스뱅크의 고객이라면 금리인하요구는 반드시 누려야 할 권리”라며 “금리인하와 신용도 개선 등 금융소비자로서 고객들이 정당한 권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토스뱅크가 더 많은 부분을 고민하고 먼저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