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상위 10% 아파트값 9억원 돌파…하위 10%의 14.2배

 

[FETV=정해균 기자] 전국의 매매가격 상위 10%인 아파트의 평균 가격이 9억원을 돌파해 10년 만에 2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 10% 아파트와 하위 10% 아파트의 가격 차이는 14.2배까지 벌어졌다.


부동산정보 서비스 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실거래가 통계 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매매가격이 상위 10%인 전국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9억12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10년 전인 2007년의 4억6000만원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상위10% 아파트 평균 가격은 올해 상반기 9억3000만원에 달했다.

 

직방은 고가 아파트 가격 상승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가 이끈 것으로 분석했다. 최성현 직방 매니저는 "거래가격 상위 10%에서 건축 연한이 30년 이상인 아파트는 2011년 3.5%였으나 2017년에는 14.2%로 약 4배 증가했다"며 "재건축을 통해 새 아파트로 거듭나는 물량에 대한 기대감으로 노후 아파트에 대한 투자 수요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저금리 등 대출 환경이 나아진 것도 수요층을 넓히는 요인이 된 것으로 직방은 분석했다.

 

아파트 가격 상위 10%와 하위 10%의 평균 거래가격은 올 상반기 기준 14.2배로 지난해(13.9배)보다 격차가 더 벌어졌다. 이 비율은 2009년(16.3배)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다가 2013년(10.6배) 저점을 찍은 뒤 매년 상승하고 있다.

 

직방은 "고가 아파트 거래 증가와 가격 상승이 아파트 매매시장을 견인했지만, 사회 전체의 계층 간 불균형은 더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자산 보유에 따른 계층 간 불균형이 소득에 비해 더 커지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직방은 재정개혁특별위원회가 지난 3일 제안한 종합부동산세 강화가 자산에 따른 계층 간 불균형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직방 측은 “정부의 아파트 매매시장 규제 강화로 올해 상위 10%의 거래가격 인상폭이 줄었고, 30년 이상 노후 아파트 거래비중도 10.3%로 2017년 14.2%에 비해 크게감소했다”며 “정부의 정책이 서서히 그 효과를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