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산업


봉화 석포면 주민, “석포제련소 폐쇄 막아주세요”

청와대 방문해 진정서 전달...“2200명 주민의 생계터전”

 

[FETV(푸드경제TV)=황현산 기자] 영풍이 운영하고 있는 경북 석포제련소 폐쇄를 반대하고 있는 봉화군 석포면 주민들이 4일 청와대를 방문해 진정서를 전달했다.

 

김성배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석포제련소는 2200명 석포 주민들의 생계터전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조선, 자동차, 철강 등 주요 산업 전반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필수적인 기초 소재를 생산하는 곳”이라며 “이 곳이 생산을 중단하게 되면 주민들의 생계는 물론 대한민국 제조업 자체가 불안해진다”고 호소했다.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는 석포면 발전협의회, 청년회, 석포노인회 등 석포면의 모든 단체들이 연합해 만든 협의체로 낙동강 상류 석포면의 청정 환경을 지키면서 동시에 주민생존권을 사수하자는 취지로 결성된 주민 조직이다.

 

대책위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병철 석포면발전협의회 회장은 “영풍 석포제련소에는 120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이들 중 대부분은 경북도민”이라며 “2200명 석포 주민들의 일자리는 물론 슈퍼마켓, 식당, 카센터, 이발소 등 생활 자영업 등도 모두 석포제련소에 의존해 살아간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또 “석포제련소의 조업 정지는 한국 제조업 전체를 격변으로 몰고 갈 수 있다”며 “영풍에서 생산한 아연괴를 주요 재료로 사용하는 철강, 자동차, 조선 분야 기업들이 생산에 큰 타격을 받게 된다”고 경고했다.

 

대책위 임광길 위원장은 “일자리정부를 표방하는 문재인정부가 1200명의 일자리를 통째로 날려버리려는 환경단체의 시도를 그대로 들어줄 리 없다고 생각한다”며 “제련소 폐쇄로 이득을 보려는 환경단체가 무리하게 일을 벌이고 여론전으로 석포면과 전체 경상북도민의 가슴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석포제련소를 둘러싼 환경 문제 논란에 대해서도 대책위 김용만 공동위원장은 “낙동강 오염원의 진짜 원인이 무엇인지 규명하려는 노력도 없이 안동댐에서 100킬로미터 밖에 떨어진 제련소에 그 책임을 막무가내로 떠넘기는 것은 매우 불합리한 처사”라고 주장했다

 

이날 상경한 대책위 관계자들과 석포 주민들은 “주민들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석포제련소가 돌아가야 된다”며 “낙동강 상류에서 석포제련소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모든 석포주민들이 나서 환경 문제가 없도록 같이 노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석포면 주민들은 다음주 10일로 예고된 조업정지 관련 행정심판에 대해서도 복잡한 심경을 드러냈다.

 

석포면 현안대책위 소속의 최 모 씨는 “지금 정부가 환경단체의 강한 압력에 직면해 석포제련소를 상습범으로 취급하는 움직임이 있다는 이야기가 지역에 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다음 주 열리는 행정심판은 당초 위원회에 계류된 사안이 많아 올해를 넘겨 결정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사안의 심각성을 들어 급하게 일정이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