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유길연 기자] 우리금융그룹은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으로 4800억원을 거뒀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직전 분기에 비해 2배 넘게 증가한 규모다. 수익구조 개선 및 건전성 관리 노력 등 금융환경 대처능력이 향상되고 지주 전환 후 실시한 인수합병(M&A)의 성과가 더해진 결과로 분석된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으로 구성된 순영업수익은 전분기대비 5.0% 증가한 1조7141억원을 기록했다. 이자이익은 상반기 중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수익성 하락 우려에도 전분기대비 0.6% 증가한 1조 4874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중소기업 중심의 대출성장과 핵심 저비용성예금 증가가 지속되며 이룬 수익구조 개선의 결과다. 비이자이익은 3분기 중 ‘사회적거리두기 2.5단계’상향에도 영업력을 회복하며 외환·파생 관련 이익 등의 증가로 2267억원을 거뒀다.
자산건전성 부문은 고정이하여신(NPL커버리지)비율 0.40%, 연체율 0.32%를 유지하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속에서도 안정적으로 관리됐다. 특히, 우량자산비율 86.9%, NPL커버리지비율 152.7%도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우리금융은 상반기 중 미래 경기대응력 강화를 위해 적립한 충당금 등 감안하면 향후 건전성 추이는 안정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 역시 지난 6월 감독당국의 내부등급법 승인에 이어 바젤Ⅲ 최종안을 조기 도입해 14% 수준으로 개선되며 불확실한 금융환경에 대처할 여력도 향상됐다.
한편, 우리금융그룹은 지난 23일 이사회를 열어 아주캐피탈 경영권 인수를 결의했다. 아주캐피탈 인수시 아주캐피탈의 100% 자회사인 아주저축은행은 손자회사로 편입된다. 지난해 신규 편입된 자회사들과 함께 사업포트폴리오 라인업(Line-up)이 한층 강화되며 그룹내 자회사들간 시너지로 비은행부문의 손익 기여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업포트폴리오 확충은 재무적 성과 외에도 중소·서민 취약계층 대상 대출 등 폭넓은 금융서비스로 금융의 사회적 역할도 함께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금융환경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임을 감안해 견조한 펀더멘탈의 업그레이드와 그룹내 사업포트폴리오간 시너지 강화 등 그룹의 내실화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