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0727/art_15935638146677_df43c3.jpg)
[FETV=유길연 기자] 가계나 기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돈을 은행에 쌓아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주체가 은행 계좌에서 수시로 인출할 수 있는 예금을 올해는 역대급으로 꺼내 쓰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예금은행의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18.4회다. 이는 분기 기준 최저치에 근접한 수준이다. 역대 최저 기록은 1987년 1분기 회전율인 17.9회다.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가계나 기업이 돈을 인출하지 않고 은행에 예치한 채로 두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특히 요구불예금은 투자처가 있으면 바로 쓸 수 있는 단기 부동자금으로 분류된다. 이 예금의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경제 주체들이 투자를 꺼리고 돈을 보관하는데 집중한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4월 요구불예금(평잔, 계절조정계열 기준)은 278조54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인 작년 12월(251조8천900억원)에 비해 10.6%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