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자율주행 실험도시 케이-시티(K-City)에서 자율주행차들이 운행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190414/art_15546048462533_db7dcc.jpg)
[FETV=오세정 기자] 한국이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 분야에서 혁신 성장 역량은 물론 자원과 위상 등이 미흡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대부분 신산업 분야 경쟁력이 중국보다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산업연구원은 7일 ‘신융합시대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역량 평가와 과제’ 보고서에서 한국, 미국, 중국 3개국의 9개 신산업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한국의 혁신성장역량이 대부분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9개 신산업은 지능형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인공지능, 실감형 콘텐츠, 사물인터넷(IoT)가전, 지능형 로봇, 바이오헬스, 자율주행차 등이다. 보고서는 종합적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혁신성장역량이 가장 양호하지만, 나머지 8개 신산업은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신산업 분야 모두 미국보다 기술 수준 등 전반적인 산업경쟁력이 낮았을 뿐 아니라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IoT가전, 이차전지를 제외한 6개 분야는 중국보다도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9개 신산업 모두 시장수요는 대부분 양호했지만 기업의 공급역량이라 할 수 있는 혁신자원 분야에서 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를 제외하면 모두 낮은 수준이었다.
글로벌 위상도 2017년 매출 기준 세계 1위인 대형 OLED와 생산량 기준 1위인 대형 이차전지를 빼면 대부분 선도국에 열세로 나타났다. 메모리반도체는 세계 1위 경쟁력을 보유했지만, 시스템반도체와 팹리스 부분에서의 위상은 선도국과 격차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지능형 반도체, 바이오헬스, 자율주행차 등 여러 신산업의 핵심기술로 작용하는 인공지능 분야의 세계 시장 위상도 낮았다. 소재와 장비 등 후방산업 역량도 대부분 낮았고, 제도와 규제 지원도 보통 수준을 넘지 못했다.
보고서는 9개 신산업의 가장 큰 공통적인 약점과 위협요인으로 산업생태계가 약하고 중국이 신산업 굴기를 통해 무섭게 성장하는 점을 지목했다. 보고서는 또 신산업 대부분이 산업발전단계 초기로 앞으로 성과가 기대되지만, 글로벌 기업과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어 과감한 성장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내 신산업은 산업생태계 강화와 창업 활성화 기반 구축, 최대 약점인 핵심소재와 장비 등 후방산업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신산업에 필요한 법·제도 정립과 규제 정비, 정부의 신산업 분야 원천기술 연구개발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