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청구서 도착이요' [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190311/art_1552262508959_986f34.jpg)
[FETV=오세정 기자] 지난해 가계의 임대료, 수도·전기요금 관련 지출 증가율이 5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극심한 한파와 기록적인 여름 폭염에 따른 냉난방 수요가 증가한 탓이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임료 및 수도 광열 지출은 148조4141억원으로 1년 전보다 4.3% 증가했다.
임료 및 수도 광열 지출은 전·월세, 수도요금, 전기요금, 관리비 등 주거에 드는 비용을 의미한다. 지난해 증가율은 2013년(4.3%) 이후 최고였다.
폭염, 맹추위 등 이상 기후가 임료 및 수도 광열 지출 확대의 주범이었다. 냉난방 수요 때문에 작년 한 해 가정용 전기 사용량은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사상 최고를 기록하기도 했다.
작년 한시적으로 완화된 7∼8월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효과를 제외하고 보면 임료 및 수도 광열 지출 증가율은 더 확대했을 수 있다.
한은 관계자는 “작년 1월 한파, 여름 폭염 등 기후 영향으로 전기·가스 연료비 지출이 늘어났다”며 “전·월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임료 및 수도 광열에는 집세도 포함되지만 지난해 전셋값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1.4%로 2006년(0.7%) 이후 가장 낮았다. 월세는 0.3% 오히려 하락하며 역시 2006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생계에 필수적인 지출 가운데 의료·보건 지출도 6.6% 늘어난 45조9568억원으로 집계됐다. 교통비 지출도 97조824억원으로 5.5% 증가하며 가계 부담을 가중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은 110조7792억원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3.9% 늘어나는 데 그쳤고 선택약정 확대 등의 영향으로 통신비 지출은 24조603억원으로 1.4% 감소했다.
김광석 한국산업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주거비 부담이 커지면 저소득층의 생계가 팍팍해질 수 있다”며 “전기요금 한시 인하, 유류세 인하 등 정부가 생계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개입이 필요한 영역”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