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190309/art_15515788329098_caac28.jpg)
[FETV=최남주 기자] 올해 전 세계에서 10억 달러( 1조1200억원) 이상 자산을 소유한 갑부(Billionaire·억만장자)가 247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우리나라의 경우 10억 달러 이상을 보유한 갑부는 36명으로 지난해보다 3명 증가했다.
3일 '중국판 포브스'인 후룬이 발표한 '2019년 세계 갑부 순위'에 따르면 올해 1월 31일 기준으로 1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가진 전세계 갑부 2470명 가운데 한국인은 36명으로 지난해보다 3명 늘었다.
갑부 수를 기준으로 한 국가별 순위에서 한국은 작년 15위에서 올해 14위로 한 계단 상승했다. 한국인 중에선 자산 160억 달러(17조9800억원)를 보유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세계 66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86억 달러 자산으로 184위,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85억 달러로 189위를 차지했다. 올해 한국은 6명이 세계 부호 명단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방준혁 넷마블 의장과 김정주 NXC 대표의 부인인 유정현 NXC 감사가 각각 자산 22억 달러를 기록하며 나란히 1164위에 새로 올랐다.
구광모 LG그룹 회장,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 구본준 LG 부회장이 자산 10억 달러 갑부 명단에 이름을 새로 올렸다.하지만 조양래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회장과 조창걸 한샘 명예회장, 故 구본무 전 LG그룹 회장 등은 지난해 갑부 명단에 올랐으나 올핸 리스트에서 빠졌다.
올해 전세계 갑부 수는 2470명으로 작년보다 224명 줄었는데 국가별로는 중국 갑부 수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 후룬이 홍콩과 대만을 중국에 포함해 집계한 결과 올해 중국은 갑부 수가 658명으로 지난해보다 161명 감소했으나 여전히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미국은 작년보다 갑부가 13명 늘어난 584명이었지만 작년에 이어 2위에 머물렀다. 독일과 영국이 각각 117명과 109명으로 3위와 4위를 차지했고 작년 3위였던 인도는 올해 5위로 밀려났다. 작년 11위였던 일본은 올해 13위로 두계단 하락했다.
전체 갑부 수는 중국이 미국을 앞질렀으나 세계 1∼10위는 미국이 과반을 차지했다. 중국은 10위권에 1명도 들어가지 못했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는 재산 1470억 달러(165조1500억원)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 재산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빌 게이츠와 워런 버핏이 뒤를 이었다.
알리바바 회장인 마윈과 그 일가가 22위로 중국인중 1위를 차지했다. 올해 갑부 명단에 새로 이름을 올린 201명중 중국인이 52명으로 가장 많았다. 미국이 39명, 인도는 23명이 10억 달러 갑부 명단에 신규 포함됐다.
올해 후룬 명단에 등재된 갑부들의 총자산은 지난해보다 9500억 달러(1000조3000억원) 줄었다. 분야 별로는 제조업에서 1750억 달러가 줄어 가장 많이 감소했다. 소매업 1220억 달러, 부동산 1150억 달러 자산이 줄었다.
루퍼트 후거워프 후룬 리포트 회장 겸 발행인은 "중국은 경제 둔화에도 불구하고 올해 갑부 명단에 가장 많은 수를 추가하는 등 중대한 혁신이 이어졌다"며 "중국은 세계 인구에서 20%에 불과하지만 세계 갑부의 27%를 차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