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한양증권, 금감원 출신 영입 제동…리테일 확장에도 '먹구름'?

이달 선임 예정 고영집 전 감사실 국장 취업제한 판정
내부통제 강화·소비자 보호 기조 속 대체 카드 모색 전망

[FETV=박민석 기자] 한양증권이 전 금융감독원 감사실 국장을 영입하려 했지만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윤리위)의 ‘취업제한’ 판정으로 제동이 걸렸다. 내부통제 강화 기조에 맞춰 추진한 첫 당국 출신 영입 카드가 불발되면서, 리테일 업무 확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양증권 감사본부장으로 내정됐던 고영집 전 금감원 감사실 국장이 인사혁신처 윤리위로부터 ‘취업제한’ 판정을 받았다. 고 전 국장은 지난 7월 퇴직했으며, 기획조사국장·특별조사국장·기업공시국 부국장 등을 거쳐 2023년 11월부터 감사실 국장을 지낸 바 있다.

 

윤리위는 공직자윤리법 제17조 제2항 제8호에 따라 “퇴직 전 5년간 소속 부서의 업무와 한양증권의 감사본부장 직무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취업을 제한했다. 해당 법은 퇴직 공직자가 감독 업무와 관련된 기관에 3년간 취업하는 것을 금지한다.

 

이로서 한양증권 감사본부장은 진중신 상무가 계속해서 맡게 됐다. 진 상무는 지난 6월 18일 C&T본부장에서 감사본부장으로 선임 된 이후 임기를 지속적으로 맡아오고 있다. 진 상무는 지난해 3월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사내이사에 올랐으나, 작년 6월 KCGI로 최대주주가 변경된 이후 이사직에서는 내려왔다.

 

다만 취업제한 판정이 내려졌더라도 특별한 사유가 인정되면 당사자가 재심의를 요청할 수 있어, 고 전 국장의 향후 선임 가능성이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다.

 

한양증권 관계자는 “금감원 인사 영입 배경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부분은 없다”면서도 “추후 당사자의 재심의 절차에 따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책무구조도 등 강화되는 내부통제…당국 출신 인사 필요성 커져 

 

업계에서는 이번 영입 시도가 최근 강화되는 당국의 내부통제 기조에 대응하려는 목적이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4월 도입된 ‘금융판 중대재해처벌법’ 성격의 책무구조도가 시범운영을 거쳐 지난달부터 현장점검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고 발생 시 CEO 등 임원의 내부통제 책임을 명확히 규정하는 제도다.

 

한양증권은 이에 맞춰 지난 3월 정관을 개정해 상근감사 제도를 폐지하고 감사위원회 체제로 전환했다. 감사위원회가 전원 사외이사 중심으로 꾸려진 만큼, 실무를 총괄할 감사본부장의 책임은 더욱 커졌다. 금감원 감사실에서 증권·운용사의 내부통제 적정성을 평가하고 외부감사 수감업무를 담당했던 고 전 국장이 적임자로 꼽힌 배경이다.

 

◇소비자 분쟁소지 큰 리테일 사업…법조계 출신 인사 카드 부상

 

일각에서는 금감원 출신 영입이 제동에 걸리면서 리테일 확장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양증권은 지난 6월 김병철 대표 체제 전환 이후 리테일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회사 이익의 대부분은 ▲자기매매(유가증권·파생상품 거래) ▲기업금융(증권 인수·주선, M&A 중개 등)에서 발생해 왔다.

 

 

김 대표는 동양증권과 신한금융투자 S&T그룹을 거쳐 KCGI자산운용 대표를 지낸 ‘채권통’으로, 리테일 채권 시장 확대를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다만 리테일 업무 특성상 소비자 분쟁이 늘어날 수밖에 없어 이번에 금감원 감사실 출신 인사가 필요했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취임한 이찬원 금감원장의 행보도 고려 요소로 꼽힌다. 그는 취임 직후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며 지난 4일 소비자보호 TF를 출범시켰다.

 

윤리위의 취업제한 판정으로 한양증권의 ‘금감원 방패막이’ 전략은 좌초 위기를 맞았다. 이에 업계에서는 회계법인이나 법조계 전문가 등으로 대체 후보를 찾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당국이 전산장애와 소비자 보호를 강조하는 상황에서 리테일 확장을 추진하는 KCGI 입장에선 당국 리스크를 잘 아는 인사가 필요했을 것”이라며 “금감원 출신 카드를 쓰지 못하게 된 만큼, 차선책으로 법조계 출신 감사본부장을 기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