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의료·제약


제약바이오업계, 하반기 기대와 실망 ‘교차’

제일약품, 국산 37호 신약 ‘자큐모’ 개발 vs 동아에스티·메디포스트·강스템바이텍, 임상 실패

 

[FETV=강성기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신약 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기대와 실망이 교차하고 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 하반기 제일약품 국산 37호 신약 ‘자큐모’ 개발 소식과 함께 강스템바이오텍의 2차 임상 실패 소식이 엇갈리면서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제일약품의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은 지난달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의 판매를 시작했다. 자큐보정은 지난 4월 국내 37호 신약으로 허가받은 P-CAB(위산분비차단제) 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제일약품은 자큐보의 3년 목표 매출액을 1897억원으로 정했다. 
 

반면 강스템바이오텍은 줄기세포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퓨어스템-에이디주’의 국내 임상 3상에서 1차 평가지표 목표에 달성하지 못하고 임상이 실패로 끝났다. 강스템바이오텍은 두번째 도전이었다. 앞서 2019년 1차 유효성 평가지표인 EASI-50 달성률이 통계적 유의성을 충족하지 못했었다.

 

앞서 메디포스트 기관지폐이형성증(BPD) 치료제 ‘뉴모스템’의 국내 임상 2상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뉴모스템은 동종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주성분으로 개발한 치료제로서, 미숙아 BPD의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

 

메디포스트는 지난 2017년 12월 국내 임상 2상 승인을 획득한 후 2024년 1월까지 임신 주수 25주 미만의 초극소 미숙아 60명을 대상으로 시험군과 대조군 2그룹으로 나눠 기도내 삽관을 통해 약물을 투약한 뒤 36주 시점에서 BPD 발생 또는 폐질환 관련 사망 대상자의 비율을 비교해 대조군 대비 우월성을 평가했다.

 

동아에스티는 과민성 방광 치료제 ‘DA-8010’ 임상 3상에서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하면서 실패로 끝났다. DA-8010은 방광 수축을 유도하는 무스카린 수용체 M3에 대한 길항제다. M3에 결합해 과민성 방광 환자들의 방광 수축을 완화해 과민성 방광 증상 개선을 돕도록 설계됐다.

 

동아에스티는 2022년 5월12일부터 올해 5월29일까지 과민성 방광 환자 607명을 대상으로 위약·실약대비 DA-8010의 유효성과 안전성, 우월성 등을 평가하는 임상 3상 시험을 진행했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제약바이오 시장은 HLB와 한올바이오파마가 부정적인 이슈들을 발표하면서 다소 영향을 받았다”면서 “그러나 곧 투자자들이 평온을 되찾으면서 옥석을 선별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