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재계


소비자물가 상승률 5개월 만에 1%대 회복…농산물 가격 폭등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2월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5개월 만에 0%대를 벗어났다.

통계청이 지난 5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 1.0%를 기록하고서 5월부터 8월까지 0%대에 머물다가 5개월 만에 1%대로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10.2%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0.77%포인트 끌어올렸으며, 그 중에서도 농산물이 15.3%나 뛰어 물가 상승률을 0.60%포인트 올렸다.

서비스물가도 1.9%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1.08%포인트 끌어올렸다.

저유가 여파와 전기요금 한시 인하 효과로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13.9% 떨어져 전체 물가 상승률을 0.64%포인트 내리는 효과를 냈다.

지출목적별로 살펴보면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가 1년 전보다 5.6%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0.78%포인트 끌어올렸다.

반면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는 1년 전보다 1.8% 떨어지면서 물가상승률을 0.32%포인트 끌어내리는 효과를 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3%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1.8%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6% 올랐다. 이중 식품은 4.7% 올랐고 식품 이외 지수는 1.2% 하락했다.

소비자들이 자주 사는 채소, 과일, 생선 등의 물가인 신선식품지수는 20.5%나 뛰었다. 2011년 2월(21.6%)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특히 채소가 1년 전보다 52.5%나 올라 신선식품지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쳤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배추가 1년 전보다 198.2%나 올랐고 시금치(107.5%), 무(106.5%), 풋고추(109.1%) 등도 100%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관계자는 “전체적으로는 저유가 영향이 지속하고 있지만, 서비스물가는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며 “폭염으로 인해 농·축·수산물 물가가 많이 올랐다”고 밝혔다. 이어 "저유가, 전기료 인하 등의 영향을 제외하면 디플레이션 우려에도 꾸준히 물가는 상승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덧붙였다.

이슬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