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파생결합증권 1분기 증시 약세에 발행 9.5조원↓

 

[FETV=성우창 기자] 올해 증시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도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이 1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 현황'에 따르면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14조5000억원이었다. 이는 전년 동기(24조1000억원) 대비 9조5000억원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주가연계증권(ELS·ELB 포함) 발행액은 12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줄었다. 원금비보장형 ELS는 작년 홍콩항셍지수(HSCEI) 약세와 올해 1분기 글로벌 주가지수 하락 영향으로 투자수요가 감소하면서 최근 발행액이 지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다. 원금비보장형 ELS 발행액은 작년 1분기에 15조2000억원이었으나, 매 분기 감소세를 보이며 올해 1분기에는 9조4000억원으로 줄었다.


지수형 ELS 발행액은 8조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0.8% 감소했다. 종목·혼합형 ELS 발행은 3조3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00억원 줄었으나, 비중은 5.9%포인트(p) 늘었다. 기초자산별로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이 8조원, 유로스톡스50이 8조1000억원, 코스피200이 4조3000억원, HSCEI가 2조4000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녹인(Knock-In)형 ELS 발행은 4조3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조9000억원 줄었다.


올해 1분기 중 발행된 ELS는 은행 신탁에서 51.0%, 일반공모에서 22.9%, 퇴직연금에서 18.1% 순으로 판매됐다. 1분기 중 ELS 상환액은 6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4% 감소했다. ELS 발행 잔액은 61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늘어났다. 주요 주가지수 하락이 이어지면서 조기상환 규모가 감소한 영향이다. 이 가운데 조기상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원금비보장형 ELS가 62.9%를 차지해, 직전 분기보다 비중이 3.8%포인트 늘었다.


기타 파생결합증권(DLS·DLB 포함) 발행은 2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5% 감소했다. 원금비보장형 DLS의 일괄신고서 금지방안과 대내외 금리 상승 영향으로 전체 발행은 감소하는 추세다. DLS 기초자산별 발행액은 금리가 1조4000억원, 신용이 9000억원, 원자재 1000억원, 환율이 100억원 등이다. 


1분기 DLS 상환액은 2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9.8% 감소했다. 같은 기간 DLS 발행 잔액은 27조5000억원으로 1.4% 늘었다. ELS 투자수익률은 연 3.7%로 전년 동기 대비 0.8%포인트 증가했다. DLS 수익률은 연 1.5%로 전년 동기 대비 1.1%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해외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상승하면서 쿠폰금리가 개선된 데 따른 것이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 손익은 6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5% 감소했다. 헤지 자산인 파생상품과 채권에서 운용손실이 2조7000억원 발생했으나, 증권사가 상환해야 할 기대금액이 감소하며 평가이익이 2조9000억원 늘어났다.


손실 발생 구간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 규모는 1608억원으로 이 가운데 53.6%가 올해 내에 만기가 도래한다. 녹인이 발생한 ELS 대부분은 홍콩H지수 편입 상품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또 올해 녹인이 발생한 DLS는 홍콩 관련 지수를 편입한 상품으로, 모두 전문투자자를 대상으로 사모 발행됐다.


금감원은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투자자의 손실 위험을 각별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현재 전체 녹인형 상품 대비 발생 비중은 0.84%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금감원은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증권사의 헤지 운용에 따른 예상 손실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해 잠재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