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제성 기자] 정부가 전기요금을 올해 3분기(7~9월)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당 5원 인상을 결정해 국내 산업계의 전기요금이 1조4000억원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한국전력은 올해 3분기(7~9월) 전기요금의 연료비 조정단가를 연간 최대 수준인 kWh(킬로와트시)당 5원 인상하기로 했다. 갈수록 늘어나는 전기요금 누적 적자로 정부가 한전의 요금인상이라는 수술에 들어간 것이다.
원래 연료비 조정단가 인상 폭은 직전 분기 대비 kWh당 최대 ±3원, 연간 최대 ±5원이지만 제도 개편을 통해 1년치 최대 인상 폭인 5원까지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번 요금 인상으로 4인 가구(월평균 사용량 307kWh 기준)의 월 전기요금 부담은 1535원 수준으로 오르게 된다.
올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으로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중고'까지 맞물리면서 고물가인 상황 속에 이번 전기요금 인상으로 산업계에 수익성 저하가 우려된다.
전력업계에 따르면 가정보다 전력 사용량이 월등히 큰 산업계에 공장 가동을 위해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데 산업계 입장에선 부담으로 작용한다.
한국전력의 지난해 국내 산업용 전력 판매량은 29만1333GWh(기가와트시)였다.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1kWh당 전기요금이 5원 늘어날 경우 국내 산업계가 부담해야할 전기료는 1조4567억원이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에서 전력 사용량이 가장 많은 기업인 삼성전자는 지난해 한국전력으로부터 18.41TWh(테와라트시) 규모의 산업용 전력을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전기요금 인상 5원을 지난해 삼성전자 사용 전력량을 곱할 경우 추가 인상안으로 부담해야 할 전력구매 비용은 921억원 가량 증가한다.
류성원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정책팀장은 "전기요금 상승은 기업 입장에선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고 특히 전력 사용량이 많은 제조업 등으 부담이 클 것"이라며 "고물가인 상황 속 전기료 인상은 연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소기업 전용요금제' 도입 등 합리적인 요금체계 개편과 고효율 기기 교체지원 확대 등의 조치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