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업기술원은 인삼 연작 장해의 원인균인 뿌리썩음병의 밀도를 판별하는 기술을 개발 했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농기원 소득자원연구소는 인삼 연구 중간평가를 실시하고 참가한 인삼농가 및 관계공무원 등 40명에게 인삼 재배적지 진단기술을 소개했다.
인삼 재배적지 진단기술은 한번 인삼을 재배하고 다시 재배할 때 나타나는 뿌리썩음병의 병원균 밀도를 판별해 인삼 재배 가능 여부를 진단하는 기술이다.
뿌리썩음병 원인균인 시린드로카폰 데스트럭턴스는 인공배지에 배양을 할 때 잘 발아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지금까지는 정확한 밀도를 판별할 수 없었다.
도 농기원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순도 높은 시린드로카폰 데스트럭턴스의 DNA 추출할 수 있는 진단용 프라이머를 민간업체인 코젠과 공동으로 개발했다.
진단용 프라이머 개발로 토양 연작 장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 기술이 완료됨에 따라 이 기술을 인삼밭에 적용하기 위해 올 하반기부터 농가의 인삼밭을 대상으로 재배적지 진단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 적용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인삼 심기 전 예정지관리단계에서 뿌리썩음병에 오염된 인삼 밭을 사전에 걸러 낼 수 있게 된다.
도는 이 기술이 인삼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고 품질도 높아져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고품질의 원료삼 생산 공급으로 국제 경쟁력도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농기원 관계자는 “이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해 짧은 기간 내에 기술개발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겠으며, 조기에 인삼재배농가에서 활용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 고 말했다.
오해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