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이 지난 위해식품 등을 계산대에서부터 판매 차단해 소비자 유통을 막는 시스템이 오는 11월 말까지 성남지역 동네 슈퍼나 마트 20곳에 추가 설치된다.
성남시는 현재 51곳인 위해식품 판매 차단 시스템 구축 매장을 확대하려고 오는 29일까지 추가 설치 대상 업체의 동의 절차를 밟고 있다.
위해식품 판매 차단 시스템은 시중에 유통 중인 부적합 식품과 회수 정보를 유통업체 본사 등이 대한상공회의소를 통해 판매 업체에 전산으로 전송해 매장 계산대에서 해당 식품의 결제를 차단한다.
손님이 사갈 물건을 계산하려 할 때 계산대에 달린 바코드 스캐너가 물품의 정보를 읽어 들여 판매 불가 상품인 경우, 빨간색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띄워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 시스템은 2009년 식약처와 대한상공회의소 협업으로 도입돼 성남지역을 포함한 전국의 대형 백화점·할인매장·편의점·슈퍼마켓 5만3천여 곳(2014년 기준)에 설치돼 있다.
시 관계자는 “올 연말까지 위해식품 판매 차단 시스템을 추가로 20곳에 설치할 계획”이라며 “이렇게 되면 관내 위해식품 차단 시스템이 설치되는 곳은 71곳으로 늘게 된다”고 설명했다.
오해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