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SW산업, 인원수로 사업비 산정 관행 개선해야“
[FETV=최순정 기자] 소프트웨어산업의 발전을 위해 인원수로 사업비를 산정하는 관행이 개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소프트웨어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보고서를 통해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을 위해 헤드카운팅 문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12일 밝혔다. 헤드카운팅은 프로젝트에 실제로 투입되는 인원을 기준으로 사업비를 계산하고, 인력투입 현황을 확인해 계획 대비 인력이 덜 투입된 경우에는 대금을 감액 지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보고서는 국내 소프트웨어(이하 SW)시장의 증가율(7.5%)은 글로벌 SW시장(17.1%)에 비해 절반 이하 수준으로 저성장세이고, 2016년 기준 SW시장 규모도 16위에 그치고 있어 국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세계 SW시장의 2015~2016년 연평균 성장률은 4% 이상으로 우리나라(2.2%)보다 높았고, 오는 2020년까지 국내 SW시장은 2%대의 저성장이 예측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리와 경쟁 관계인 중국, 인도, 멕시코, 남아공 등 신흥국은 2015~2016년 연평균 성장률이 8.6∼11.6%로 우리보다 4배 이상 높다. 보고서에 따르면 헤드카운팅 방식 하에서 우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