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양대규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베트남에 18억달러(약 2조4000억원)를 투자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공장을 짓는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현지 매체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과 베트남 북부 박닌성 당국은 전날 이 같은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공장은 박닌성 옌퐁 공단에 있는 삼성전자 공장 근처에 들어설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6년까지 4조1000억원을 투자해 연간 1000만개의 노트북 패널을 생산할 수 있는 8.6세대 정보기술(IT) OLED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도 이 프로젝트와 연계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박닌성에 대한 삼성의 누적 투자 규모는 현 65억달러(약 8조7000억원)에서 83억달러(약 11조원)로 약 28% 늘게 된다. 삼성은 베트남 총 224억 달러(약 30조원)를 투자한 베트남 내 최대 외국인 직접투자 기업으로, 6개 제조 공장과 1개 연구개발(R&D)센터, 1개 판매법인을 두고 약 9만명의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 7월 초 방한한 베트남 권력 서열 3위 팜 민 찐 총리를 만나 “베트남 최대 외국인 투자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가 노키아, 에릭슨과 함께 인도 통신사 '보다폰 아이디어'에 36억달러(약 4조8000억원) 규모의 네트워크 장비를 공급할 전망이다. 23일 보다폰 아이디어(Vodafone Idea)가 4분기부터 3년간 네트워크 장비를 공급받는다고 공시했다. 보다폰 아이디어는 보도자료를 통해 노키아와 에릭슨과는 기존 장기 파트너로 계속 협력해왔으며, 이번에 삼성을 새로운 파트너로 영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보다폰은 이번 계약으로 4G 가입자를 10억 3000만명에서 12억명으로 확대하고, 주요 시장에서 5G를 출시하고, 데이터 증가에 따라 용량을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악샤야 문드라 보다폰 아이디어 최고경영자(CEO)는 "삼성과 새 파트너십을 시작하게 돼 기쁘다"며 "모든 파트너와 긴밀하게 협력해 5G 시대로 돌입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FETV=양대규 기자] LG AI연구원은 국제전기전자 표준협회(IEEE-SA)로부터 국제 AI 윤리 인증인 ‘IEEE CertifAIEd(Certified AI Ethics)’ 협력 기관으로 지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딥페이크'를 활용한 합성물 등이 범람하고 있어 AI 기술의 신뢰성과 안정성에 대한 검인증과 평가 가이드라인 표준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LG AI연구원은 ‘IEEE CertifAIEd’ 국내 1호 협력 기관으로서 IEEE-SA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AI를 위한 개발 생태계 확장에 앞장설 계획이다. IEEE-SA는 전기 및 전자 공학 분야의 표준 개발 및 인증 기관이다. 현재 175개국 3만4000명의 전문가들이 모여 2100개 이상의 국제 표준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다. 특히 AI 기술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IEEE-SA는 AI 기술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LG AI연구원은 ‘IEEE CertifAIEd’ 인증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업들이 ▲투명성 ▲알고리즘 편향 ▲프라이버시 ▲책임성 등 윤리와 안전 분야에 있어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신뢰할 수 있는
[FETV=양대규 기자] LG디스플레이의 중국 광저우 LCD 공장 매각이 속도를 내고 있다. 스카이워스가 보유한 광저우 공장 지분을 LG디스플레이가 사들이면서 지분 매각이 쉬워졌기 때문이다. 업계는 LG디스플레이가 광저우 공장을 매각한 비용으로 차세대 OLED 장비에 증축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현재 삼성디스플레이와 BOE 등 다수의 글로벌 디스플레이업체들이 8.6세대 OLED로 전환을 진행 중인 가운데 LG디스플레이는 아직 6세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업계 일부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광저우 공장을 매각한다 하더라도 8.6세대 전환에 필요한 비용을 충분히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LG디스플레이는 중국 스카이워스가 보유하고 있는 광저우 공장 지분을 전량 매입했다. 스카이워스는 광저우 공장 지분의 10%를 보유하고 있었다. LG디스플레이 광저우 LCD 공장 지분은 LG디스플레이 70%, 광저우 지방정부 20%, 스카이워스 10%였다. 이번 매각으로 LG디스플레이의 지분율은 80%까지 올라갔다. 스카이워스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보유 중인 광저우 공장 지분 10%를 LG디스플레이 광저우 유한공사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FETV=양대규 기자]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대만 TSMC와 삼성전자가 아랍에미리트(UAE)에 대형 반도체 제조공장을 건립하는 방안을 UAE 측과 각각 논의했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의 보도에 따르면 TSMC 최고 경영진들이 최근 UAE를 방문해 반도체 제조 복합시설 건립에 대해 논의했다. 규모는 현재 대만 TSMC 공장 중 가장 큰 규모에 필적할 수준으로 알려졌다. WSJ는 또 다른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전자도 향후 몇 년 내 UAE에 새 반도체 제조시설을 건립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경영진의 고위 인사가 최근 UAE를 방문해 해당 계획의 가능성을 논의했다는 것이다. 공장 설립 프로젝트 자금은 UAE 국부펀드인 무바달라를 중심으로 UAE가 대는 방안이 초기 논의 과정에서 검토됐다. 사업 규모는 1천억 달러(약 134조원)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무바달라 측은 올해 초 아랍에미리트가 인공지능(AI) 프로젝트에 투자하기 위해 설립한 국영 투자기업 'MGX'가 반도체 생산시설을 투자전략의 한 축으로 세우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전 세계 파트너들과 정례적으로 대화를 지속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다만 UAE에 반도체 제조시
[FETV=양대규 기자] SK하이닉스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메모리의 구동을 최적화해주는 자사의 소프트웨어인 ‘HMSDK’의 주요 기능을 오픈소스 운영체제 리눅스(Linux) 에 탑재했다고 23일 밝혔다. CXL은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CPU/GPU, 메모리 등을 효율적으로 연결해 대용량, 초고속 연산을 지원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다. 기존 메모리 모듈에 CXL을 적용하면 용량을 10배 이상 확장할 수 있다. HMSDK(Heterogeneous Memory S/W Development Kit)는 SK하이닉스 고유의 이종 메모리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다. 효과적인 메모리 제어로 CXL 메모리를 포함한 이종 메모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준다. HMSDK는 기존 메모리와 확장된 CXL 메모리 간의 대역폭에 따라 차등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해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조정하지 않고도 메모리 패키지의 대역폭을 30% 이상 확장시켜 준다. 이 소프트웨어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더 빠른 메모리로 옮겨주는 ‘접근 빈도 기반 최적화’ 기능을 통해 기존 시스템 대비 성능을 12% 이상 개선시켜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도체 업계는 올 하반기 중 ‘CXL 2.0’ 규격이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기가 웨어러블(착용형) 기기에 탑재되는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가 이번에 개발한 웨어러블용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업계 최고 수준인 200Wh//ℓ급으로, 현재 고객 대상 시제품 평가 중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에 필요한 전해질을 불연성 고체로 사용해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안전하고, 외부 충격을 잘 견딘다. 또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다. 삼성전기는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 개발 과정에서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제조 기술 노하우를 적극 활용함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삼성전기는 산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관련 다수의 특허를 확보하며 사업화를 대비해왔다. 핵심 재료인 고체전해질 조성과 독창적 배터리 구조 설계를 포함해 최근 3년간 40여건의 특허를 해외에 출원했다. 삼성전기는 전고체 배터리의 높은 안정성, 소형화, 형상 자유도 특성을 활용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용으로 우선 적용해 고객사와 테스트 중이다.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지난 1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적층세라믹커패시터(M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 용석우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과 이영희 글로벌마케팅실장 사장 등 경연진이 20일 삼성전자 자사주를 총 8억3880만원치 매입했다. 이날 3명의 삼성전자 임원이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이달에만 9명의 임원들이 자사주를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삼성전자 주가가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주주가치 제고와 책임경영에 동참하는 의미로 다수의 삼성전자 경영진들이 자사주를 대량 매입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일 용석우 사장이 삼성전자 보통주 3000주를 주당 6만4600원으로 총 1억9380만원에 매입했으며, 이영희 사장도 같은날 보통주 5000주를 주당 6만4500원으로 총 3억2250만원에 매입했다. 삼성전자 김대주 부사장도 같은날 삼성전자 보통주 5000주를 주당 6만4500원으로 총 3억2250만원에 매입했다. 이날 하루만 삼성전자 임원들이 매입한 자사주 총금액은 8억3880만원에 달한다. 지난 3일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이 1만주를 주당 7만3900원에 매입한 뒤, 이번달 삼성전자 경영진들의 자사주 매입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9일에는 노태문 사장이 5000주를 주
[FETV=양대규 기자] LG전자는 지난 8월부터 이달 말까지 전국 각지 초·중·고등학교의 특수학급 및 LG전자 베스트샵에서 ‘가전학교 원데이 클래스’를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가전학교 원데이 클래스는 놀이를 통해 가전제품의 전기적∙기계적 원리를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더욱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LG전자의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이다. 느린 학습자나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이 올바르고 안전하게 가전제품을 사용하도록 돕고자 지난해부터 시작된 ‘가전학교 프로젝트’의 한다. 그간 발행해온 ‘쉬운 글 도서’와 연계해 마련됐다. 쉬운 글 도서는 가전제품 사용법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풀어 설명하는 책자다. 이번 가전학교 원데이 클래스는 약 두 달간 총 16회 진행됐다. 비장애 아동들도 참여했다. 특수학급이나 복지관 등에 속하지 않은 장애 아동들도 개별적으로 사전 신청했다. 가전학교 원데이 클래스는 가전제품에 대한 아동·청소년들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자 ▲집 꾸미기 보드게임 ▲전자레인지로 컵케이크 만들기 ▲미래 가전 그림 그리기 등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됐다. LG전자는 11월 가전학교 원데이 클래스 시즌 2를 추가 진행한다. 주말을 포함해 총 교육 횟수를 30회 이상으로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는 삼성 뉴스룸 글로벌을 통해 21일(현지시간) 트위치콘 샌디에고 2024(TwitchCon San Diego 2024) 행사에서 두 번째 플레이갤럭시 컵(#PlayGalaxy Cup)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이벤트에는 해외 인기 스트리머와 e스포츠 프로가 펍지(PUBG) 모바일 토너먼트에서 경쟁한다. 참가자는 모두 갤럭시 S24 울트라로 게임을 하며, 터치스크린 또는 마우스와 키보드 컨트롤을 사용한다. 삼성전자는 S24 울트라가 고성능 모바일 게임 경험을 위해 특별히 최적화됐다고 밝혔다. 플레이 갤럭시 컵에서는 인기 있는 크리에이터와 E스포츠 프로 16명이 4개 팀으로 나눠 S24 울트라를 사용해 PUBG 모바일 게임을 겨룬다. 두 팀은 직관적인 터치스크린 컨트롤을 사용하며 경쟁하고, 다른 두팀은 스마트폰에 마우스와 키보드를 연결해 맞붙는다. 이 대회는 스트리머이자 전 프로게이머인 잭 마틴(NiceWigg)의 채널을 통해 트위치에서 전 세계적으로 생중계된다. 삼성전자 MX사업부 마케팅전략그룹장 김세진 상무는 "트위치와 PUBG 모바일과 협력해 이 독특한 게임 토너먼트를 트위치콘 2024에 선보이게 되어 기쁘다"며 "갤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