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주영 기자] 동아제약은 박맛젤(박카스맛젤리)과 글로벌 게임 원신이 콜라보한 팝업스토어 ‘박맛젤 살롱’이 성황리 종료됐다고 30일 밝혔다. 박맛젤 살롱은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4일간 서울 홍익대학교 인근 대형카페에서 진행됐다. 팝업 방문객은 총 2000명으로 사전예약을 통해 모집했으며 뜨거운 관심에 힘입어 조기마감됐다. 팝업스토어에는 박맛젤X원신 콜라보 굿즈 판매부터 박맛젤과 얼박을 활용한 다양한 음료와 스낵을 판매하는 카페 공간도 마련했다. 또한 방문객들이 직접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미니게임 3종 체험존과 인기 캐릭터 ‘나비아’ 포토존을 구성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박맛젤과 원신의 콜라보 이벤트는 대학교 캠퍼스에도 이어질 계획이다. 오는 5월 초 서울 주요 2개 대학에 방문해 캠퍼스 어택을 진행할 예정이다. 자세한 이벤트 내용은 원신 공식 카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박맛젤과 원신이 함께 선보인 팝업스토어에 많은 분들이 방문해주셔서 성황리에 마무리될 수 있었다”며 “박맛젤X원신은 팝업스토어를 시작으로 캠퍼스어택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지속 선보여 소비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FETV=김주영 기자] 동아에스티는 ‘제20회 청소년 환경사랑 생명사랑 교실’ 참가자를 5월 1일부터 3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올해 20회를 맞는 ‘청소년 환경사랑 생명사랑 교실’은 단순히 쓰레기를 줍고 재활용을 하는 봉사활동 체험이 아닌 환경과 생명의 소중함을 직접 느끼고 배워 환경 속에 살아있는 생명을 내 손으로 지킨다는 생명존중의 정신을 기르는 행사로 동아에스티가 2004년부터 주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우리가 그린(GREEN) 내일, 우리의 실천’이라는 주제로 변산반도국립공원 일대에서 7월 21일(월)부터 7월 25일(금)까지 총 4박 5일간 진행된다. 참가 신청서와 간단한 자기소개 및 지원 동기를 촬영해 영상으로 업로드하면 접수가 완료된다. 접수 후 서류심사 및 추첨을 통해 총 80명(남녀 각각 40명)이 선발된다. 최종 선발자는 6월 18일(수)에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되며, 선발자에게 개별 통지된다. 참가비용은 주최사인 동아에스티가 전액 지원하며, 참가자에게는 8시간의 자원봉사 시간도 부여된다. 올해는 20주년을 맞아 청소년 환경사랑 생명사랑 교실의 주요 활동이 EBS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어 방영될 예정이다.
[FETV=김주영 기자] 유한양행은 지난 29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자사의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인 표적항암제 YH42946(JIN-A04) 및 면역항암제 YH32364 (ABL104)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해당 결과는 지난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진행된 AACR 2025에서 포스터 발표 형식으로 공개됐으며, 관련 초록은 지난 3월 25일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게재됐다. YH42946은 HER2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및 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계열의 항암제로 HER2 엑손 20 삽입을 포함한 다양한 돌연변이와 HER2 증폭/과발현, 그리고 EGFR 엑손20 삽입 변이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종양 활성을 보였다. 특히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HER2 및 EGFR 엑손 20 삽입 변이는 기존의 TKI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치료제가 매우 제한적이다.
[FETV=김주영 기자] 자생한방병원은 최근 초음파 유도 약침치료의 효과를 확인한 논문을 SCI(E)급 국제학술지 ‘메디슨(Medicine (IF=1.4))’에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초음파 검사는 방사선 노출 위험이 없어 안전성은 물론, 실용성이 뛰어나 한의학 분야에서도 효과적인 시술 보조 기기로 활용되고 있다. 해당 기기를 사용하면 주요 신경과 혈관을 시각화해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한 부위에 침이나 약침을 시술할 수 있어 치료 효과 역시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약침치료는 초음파 유도가 가장 활발히 적용되는 치료법으로 꼽힌다. 약침은 한약재의 유효 성분을 추출·정제해 경혈에 주입함으로써 빠른 치료 효과를 내는 치료법이다. 이전에 발표된 자생한방병원 논문에 따르면, 초음파 기기를 진료에 사용한 한의사 335명 중 약 80%(267명)가 약침치료 시 초음파 유도 방식을 가장 많이 활용한다고 답했으며, 95% 이상은 치료 후 유의한 이상 반응이 없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94%는 초음파 기기 활용으로 치료의 안전성이 향상됐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상황 속 자생한방병원 이진호 병원장 연구팀은 초음파 유도 약침치료의 임상적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
[FETV=김주영 기자]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글로벌 제약사 산도스(Sandoz)와의 마케팅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후발주자라는 약점을 극복하고 ‘피즈치바’ 매출을 끌어올리며 2025년 1분기 실적을 큰 폭으로 성장시켰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한 4006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80억원으로 236% 증가했다. 이러한 실적 개선은 바이오시밀러 SB17 제품 '피즈치바'가 유럽과 미국 시장에 진입하면서 생긴 결과로 분석된다. 피즈치바는 구체적으로 2024년에 유럽, 2025년에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 개발 시점은 경쟁업체인 동아에스티와 셀트리온보다 늦었지만 현재 유럽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스위스 제약업체 산도스와의 마케팅 파트너십 체결이 초기 시장 확산과 점유율 상승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고 보고 있다. 해외 현지 업체와 동맹으로 후발주자이지만 경쟁 업체 대비 빠른 성장을 이뤄내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진 셈이다. 스텔라라 오리지널은 얀센이 개발한 인터루킨(IL)-12, 23 억제제로 판상 건선과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FETV=김주영 기자] 대웅제약 이지듀가 장미 성분을 담고 분홍빛 패키지로 단장한 ‘기미 앰플 로즈에디션’을 5월 한정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기미 앰플(DW-EGF 멜라토닝 원데이 앰플) 로즈에디션’은 이지듀의 대표 제품 기미 앰플에 장미 유래 성분을 더하고, 장미를 연상시키는 분홍빛 패키지를 적용한 한정판 에디션이다. 주요 구성으로 ▲기미 앰플 30ml 2개, 프리저브드 플라워, 선물 포장 패키지(48% 할인, 10만 9천원▲1000개 한정 판매되는 기미 앰플 30ml 4개 프리저브드 플라워, 선물 포장 패키지(51% 할인, 19만 8천원)를 선보인다. 이는 5월 한 달간 이지듀 공식몰에서 한정 판매된다. 기미 앰플 로즈에디션에는 누적 판매 2000만 병을 기록한 기미 앰플의 핵심 성분인 DW-EGF(고활성상피세포성장인자)와 미백 기능성 성분인 나이아신아마이드를 그대로 담아 기미 케어 효과를 유지했다. 분홍색을 띠는 원료인 비타민B12 덕분에 앰플 제형도 분홍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다마스크 장미꽃 수와 다마스크 장미 오일은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외부 유해 요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광채, 톤을 개선해 피부의 생기를 보충하는데 도움을 준다.
[FETV=김주영 기자] 경동제약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위아바임의 ‘낙산균 프로바이오틱스 오’를 전국 올리브영 오프라인 매점에 입점했다고 30일 밝혔다. 위아바임 ‘낙산균 프로바이오틱스 오’는 올리브영 전국 오프라인 매장에 30일부터 순차적으로 입점한다. ‘낙산균 프로바이오틱스 오’는 낙산균 2000만 CFU와 특허받은 구강 혼합 유산균 50억 CFU를 투입해 장과 구강을 더블 케어할 수 있는 구강 유산균으로, ‘2025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전당’ 프로바이오틱스 부문에서 최고의 브랜드로 선정되는 등 소비자의 호응을 얻고 있다. 낙산균은 ‘아포’라는 셀프 보호막을 형성해 산소가 없는 환경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도 살아남아 대장까지 안전하게 도달하는 강력한 프로바이오틱스다. 특히 K-낙산균은 국내에서 최초 개발,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한국인 유래 특허 균주다. 경동제약은 "더욱 많은 소비자가 낙산균과 낙산균 프로바이오틱스 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올리브영 오프라인 매장에 입점했다"며, "위아바임의 다른 제품도 올리브영 오프라인 매장에 입점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마케팅과 프로모션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FETV=김주영 기자] 에스티팜은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52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45.5% 감소했으며, 당기순이익은 7억원으로 86.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기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매출원가와 경상 연구비 증가, 사내근로복지기금 반영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사내근로복지기금이 4분기에 반영됐으나 올해는 1분기에 추가돼 비용 부담이 커졌다. 당기순이익 감소는 전년 동기 대비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차익과 주가 상승에 따른 콜옵션 가치평가 이익이 컸던 기저효과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리고' 사업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37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고지혈증 치료제 매출은 264억원, 혈액암 치료제는 61억원, 설비 사용 수수료는 23억원을 기록했다. 올리고 부문 수주잔고는 3266억원이다. Small Molecule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73.6% 감소한 1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결핍증후군 관련 매출 감소가 주 요인이며, 수주잔고는 395억원이다. mRNA 부문 매출은 6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Cell Thera
[FETV=김주영 기자]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연결 기준 2025년 1분기 매출이 주요 사업회사의 외형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328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에스티젠바이오와 용마로지스의 이익 개선에 따라 30.9% 증가한 204억원을 달성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영업수익(매출)은 전년 동기 3049억원 대비 235억원 늘어난 3284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155억원 대비 49억원 증가한 204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자회사별 실적을 보면 헬스케어 전문회사인 동아제약은 일반의약품 사업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매출이 증가했다. 다만 공장 노후설비 교체에 따른 일회성 원가 및 판매관리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동아제약의 매출은 1701억원으로 전년 동기 1585억원 대비 7.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69억원으로 전년 동기 194억원 대비 12.9% 감소했다. 동아제약 주요 사업부문별 매출을 보면 박카스 사업부문은 5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했다. 반면 일반의약품 사업부문은 560억원으로 29.4% 증가해 전체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생활건강 사업부문은 503억원으로 3.7% 감소했다. 물류
[FETV=김주영 기자] 동아에스티는 ETC와 해외사업 부문에서 약진하며 2025년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성장했다.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그로트로핀, 모리티톤이 성장하였으며 자큐보, 타나민 등 신규 품목 매출이 추가되며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했다. 해외사업 부문은 캔박카스(캄보디아) 매출이 증가했으며 이뮬도사, 에코윈 등 신규 품목 매출이 추가되며 전년 동기 대비 51.2% 증가했다. 동아에스티는 R&D 부문에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의 미국 발매를 본격화한다. '이뮬도사'는 2024년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한 뒤 2025년 5월 미국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유럽에서도 2024년 12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품목허가를 확보하고, 2025년 1월 독일, 3월 영국과 아일랜드에 출시한다. 이후 스페인, 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 국가로 발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를 통해 대사이상 지방간염(MASH)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 'DA-1241'의 글로벌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비만 치료제 'DA-1726'도 글로벌 임상 1상 파트2를 진행하고 있다. '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