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최명진 기자] 카카오가 10일 지도 앱 서비스 카카오맵에서 부산 지역 초정밀 버스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제주, 울산, 춘천, 목포에 이어 5번째 적용한 것으로, 카카오맵만의 특화 서비스로 이용자 만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초정밀 버스 위치 정보는 위성항법시스템을 활용해 지도상에 실시간 버스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10cm 단위의 버스 위치 정보를 초 단위로 갱신해 보여준다. 신호 대기 상태나 도로 상황에 따른 이동 속도까지 확인할 수 있어, 버스 이용객들의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카카오맵 첫 화면에서 상단 검색창의 메뉴바 혹은 우측 레이어 버튼을 누르고 초정밀 버스 기능을 켜면 된다. 정류장 검색이나, 대중교통 길찾기에서 상세경로 선택 시에도 초정밀 버스 위치 정보가 제공된다. 버스 아이콘마다 노선번호를 표기하고 버스 종류에 따라 색상을 구분해, 지도 위에서 원하는 버스를 빠르게 찾아볼 수 있다. 내비게이션 모드도 제공한다. 실제로 버스를 타고 주행하는 것처럼, 선택한 버스의 실제 위치에 맞춰 지도가 이동한다. 지도상에서 원하는 버스를 선택하면 내비게이션 모드가 실행된다. 이동 중인 정류장, 속도,
[FETV=최명진 기자] LG유플러스는 기업고객 전용 PC보안 솔루션 패키지인 ‘U+클라우드 보안팩’의 상품 경쟁력을 강화한다고 10일 밝혔다. 디지털 전환 트렌드가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서비스형 보안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할 뿐 아니라, 기업고객의 보안경험을 혁신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8월 출시한 U+클라우드 보안팩은 LG유플러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SECaaS 패키지다.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고객은 기존 시스템 환경의 변화 없이 신속한 설치와 유지·보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초기 구축비용과 IT·보안 인력 구성 등 자체 솔루션 운영 시 대비 최대 30% 낮춘 비용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U+클라우드 보안팩의 개인정보유출방지/백신, 문서암호화, 랜섬웨어 방지 등의 기존 솔루션에 ▲네트워크 접근제어를 추가해 총 8종으로 확대했다. U+클라우드 보안팩은 ▲기밀문서, 도면 등 기업의 지적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싶은 연구소·제조·제약 ▲민감한 고객정보 취급하는 의료·전자상거래·여행 ▲IT 담당자가 없어 보안 시스템 관리가 어려운 IT서비스·교육 등 다양한 산업의 중소
[FETV=최명진 기자] KT가 국제 오픈랜 표준화 단체인 ‘오픈랜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제안한 오픈랜 연동 규격이 지난 7월 29일 표준 승인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KT는 지난 6월 1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에서 열린 오픈랜 표준 회의에서 오픈랜 연동 규격의 표준화를 제안했고, 오픈랜 얼라이언스의 검토를 거쳐 표준 승인을 받았다. 오픈랜은 다양한 제조사의 기지국 장비를 상호 연동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개방형 무선망 기술이다. KT가 제안한 오픈랜 연동 규격은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개발된 5G 기지국의 분산장치(DU)와 무선장치(RU)를 하나의 5G 기지국처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규격이다. 그간 오픈랜 얼라이언스에서 정의된 DU와 RU 간 개방형 인터페이스는 국내 5G 무선망에 직접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KT는 오픈랜 연동 규격에 ▲상·하향 타임슬롯 구성비율(TDD Configuration) ▲10Gbps 광회선 지원을 위한 데이터 압축률 등 실제로 국내 5G 무선망 환경에서 사용 중인 설정값과 구성방식을 반영했다. 상·하향 타임슬롯 구성비율은 국내 5G 무선망에서 송신과 수신 간 간섭을 막기 위해 송·수신 채널을 분리하는 시
[FETV=최명진 기자] SK텔레콤이 서울 보라매 사옥에 디지털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전시∙학습 공간을 마련하고, 디지털 분야 실무형 인재 양성에 나선다. SK텔레콤은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과 함께 SKT 보라매 사옥에 디지털 분야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K-디지털 플랫폼’을 조성하고, 개소식을 가졌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K-디지털 플랫폼’ 사업은 지역내 중소기업과 훈련기관 등이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고용노동부∙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디지털 융합 훈련 인프라 구축’ 사업의 일환이다. SKT 보라매 사옥에 조성되는 ‘K-디지털 플랫폼’은 디지털∙신기술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전시∙체험 공간(‘AI Tech Lab’) 구축과, 청년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는 ‘K-디지털 FLY AI’ 두가지로 구성된다. 전시공간인 ‘AI Tech Lab’에서는 SKT가 선도하고 있는 Tech.기반의 디지털 기기와 솔루션을 체험할 수 있다. SKT는 이곳에 ▲AI반도체 사피온 ▲저해상도 사진∙음성 및 동영상을 고화질로 변화시켜주는 ‘슈퍼노바(Supernova)’ ▲AI 기반으로 행동유형을 판단하여 고객에게 상황을 안내해 주는
[FETV=최명진 기자] 네이버시리즈가 대표 웹소설 작품들을 모아볼 수 있는 ‘시리즈에디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시리즈에디션은 네이버웹소설에서 정식 연재되는 오리지널 작품과 네이버시리즈가 엄선한 작품들로 구성된다. 네이버시리즈 앱(App)과 웹(Web)에서 만나볼 수 있고, 작품 이미지 하단에 시리즈에디션 블릿이 부착되어 빠르게 구분할 수 있다. 네이버시리즈 앱(App)에서는 노블(Novel) 카테고리 내 시리즈에디션을 통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이버웹소설의 정식 연재 작품 공간인 ‘오늘의웹소설’도 론칭 9년 만에 시리즈에디션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또한 시리즈에디션 내 오리지널 작품 발굴을 활성화하고자 네이버웹소설 서비스는 대대적인 개편에 들어간다. 우선 이용자들이 주간 인기작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위클리 베스트' 영역을 신설하고, 세분화된 장르 탐색과 작품 검색이 가능하도록 키워드 및 태그 기능을 추가한다. 일간 및 주간 랭킹 외의 다양한 랭킹 정보를 제공해 작품 탐색의 기회도 넓힌다. 웹소설 작가들이 작품을 등록하면 정해진 일정에 맞춰 작품이 업로드되는 예약 기능과 작품 관리 및 독자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기능도 도입한다.
[FETV=최명진 기자] KT가 디지털 플랫폼 기업(DIGICO)로의 성공적인 전환과 핵심 성장사업 중심의 그룹 포트폴리오 안착으로 올해 상반기 연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4% 늘어난 12조5899억원, 영업이익은 1조858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기준 연결 매출은 역대 최대 실적이다. KT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기준 2022년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6조3122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한 4592억원으로 집계됐다. 별도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한 4조5178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6% 감소한 3035억원을 기록했다. ‘kt cloud’를 포함할 경우 KT의 2분기 별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4조5934억원으로 실적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KT는 올해 4월 ‘kt cloud’ 출범으로 인한 Cloud/IDC 사업 이관 영향에도 기존 유무선 통신사업의 견조한 실적과 DIGICO/B2B 영역에서의 성장으로 매출 성장을 이어나갔다. KT는 인플레이션 등 대외환경 변화로 인한 비용 증가와 일회성 인건비 영향으로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
[FETV=최명진 기자] 음악 콘텐츠 NFT 플랫폼 기업 메타비트는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크립토닷컴 NFT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다. 메타비트는 초대형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크립토닷컴을 통해 메타비트의 첫 번째 NFT 컬렉션을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 메타비트는 이번 크립토닷컴 NFT와 전략적 제휴를 시작으로 다양한 국내외 플랫폼 업체들과 제휴를 이어가는 동시에 메타비트만의 다양한 F2E(Fan To Earn) 기능, 보상이 담긴 NFT를 K-POP 팬덤 고객에게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이번 크립토닷컴 NFT를 통해 출시하는 크립토닷컴 스페셜 에디션 NFT는 메타비트가 진행하는 특전이 담긴 서비스와 각종 콜렉터블 아이템, 에어드랍 등의 혜택을 담고 있다. 또한 향후 메타비트 자체 서비스 론칭과 함께 진행되는 이벤트의 화이트 리스트 등도 제공한다. 메타비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자체적인 FANOMAMCE INDEX를 개발, 음악 콘텐츠 IP의 영향력과 팬 활동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지표를 추출해 아티스트와 팬덤의 활동과 참여를 독려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메타비트는 그에 따른 다양한 보상 정책을 수립해 독자적인 F2E 시스템으로 국내
[FETV=최명진 기자] UT가 최근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여행객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인천공항 차량 호출 서비스를 선보였다고 발표했다. UT는 Uber 앱과의 자동 전환 기능, 앱 내 자동번역 기능에 공항 택시 호출 서비스를 더해 한층 더 편리해진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행객을 위한 이동 서비스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국내외 여행객을 위한 편의 기능을 두루 갖춘 종합 모빌리티 앱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UT는 해외 공항에 첫발을 내딛는 순간부터, 인천공항 도착까지 해외여행 전 과정을 아우르는 이동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에 도입된 인천공항 차량 호출 기능은 이용자가 UT 앱으로 인천공항에서 택시를 호출하고, 앱에서 안내되는 위치에서 편리하게 탑승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UT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국내 UT 앱과 해외에서 사용되는 Uber 앱의 자동 전환 기능이 있다. 이를 통해 국내 UT 앱 이용자는 전 세계 1만여 개 도시에서 별도 앱 설치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Uber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100개 이상의 언어로 실시간 인앱 메시지 번역 기능을 제공해 승객과 기사 간의 원활한 소통을 지원한다. 톰 화이트
[FETV=최명진 기자] KT는 자사의 20대 전용 브랜드 ‘와이(이하 Y)’가 편의점 콘셉트의 편집숍 ‘나이스웨더’와 함께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Y와 나이스웨더의 협업은 20대 전용 혜택 플랫폼 ‘Y박스’의 첫 번째 프로젝트다. Y와 나이스웨더는 이번 콜라보 프로젝트로 10여종의 한정판 상품을 출시하고 강남구 ‘가로수길’에 위치한 나이스웨더 마켓에서 팝업 스토어를 함께 운영한다. Y와 나이스웨더의 협업은 에메랄드 빛 바다를 연상시키는 Y의 브랜드 컬러와 청명한 하늘을 연상시키는 나이스웨더의 브랜드 컬러에서 영감을 받았다. ‘Keep the Youth Forever’ 라는 슬로건으로 협업이 진행된다. Y와 나이스웨더의 한정판 상품은 여름 시즌에 맞춰 청량감을 줄 수 있는 물안경과 키링, 비치볼, 비치타월, 수건, 티셔츠, 마켓백 등 해변에서 즐길 수 있는 아이템들로 구성됐다. ‘문화적 소비’를 지향하는 나이스웨더와 ‘빛나는 20대를 응원’하는 Y의 브랜드 정체성을 담고자 노력했다. 이 상품은 KT의 20대 혜택 플랫폼인 ‘Y박스’ 앱(App.)과 Y와 나이스웨더의 팝업 스토어에서 직접 상품을 보고 구매할 수 있다. Y와 나이스웨더의 팝업
[FETV=최명진 기자] 카카오가 오는 8월 28일까지 약 3주간 이모티콘 플러스를 이용해 보지 않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무료 체험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모티콘 플러스'는 지난 21년 1월에 출시한 이모티콘 정기 구독 상품이다. 카카오 이모티콘을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대화창에 단어만 입력해도 상황에 맞는 이모티콘을 자동으로 추천해줘 한층 더 풍성한 대화를 만들어 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벤트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이모티콘 플러스를 사용해 보지 않은 이용자가 카카오톡 더보기 탭에 있는 이모티콘 스토어를 방문해, 이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이모티콘을 1개 이상 다운받으면 이모티콘 플러스 체험이 자동으로 시작된다. 체험이 시작되면 7일간 모든 이모티콘을 자유롭게 무제한 다운 및 사용할 수 있다. 7일간의 체험이 종료되기 전 이벤트 참여자 전원에게 ‘이모티콘 플러스 1개월 이용권’이 지급된다. 이모티콘 플러스를 한 번도 구독하지 않은 고객에겐 원래 첫 달 무료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에 1개월 이용권과 함께 총 2달간 이모티콘 플러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는 이번 프로모션 기간 동안 춘식이, 죠르디, 고심이 등 인기 캐릭터를 이모티콘 플러스 이용자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