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신동현 기자] LG유플러스는 공공기관이나 통신사를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AI 악성 앱 분석 솔루션’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악성 앱 주소(URL)를 변조해 접속 차단을 우회하는 방식의 범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LG유플러스는 해당 솔루션을 작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했으며 지난 6개월간 6만2000여 건의 변조된 스미싱 URL을 탐지하고 차단했다. 스미싱 공격은 악성 URL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해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LG유플러스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경찰청 등과 협력해 스미싱 URL 및 악성 앱을 분석하고 접속 차단하는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정상 사이트처럼 위장하는 스미싱 범죄 사례가 증가하면서 LG유플러스는 단축·변환된 URL의 최종 목적지를 정밀 분석해 피싱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거나 악성 앱 존재 여부를 탐지하는 AI 기반 분석 솔루션을 운영 중이다 LG유플러스는 향후에도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 내에 문자테스트베드(가상의 휴대전화 번호로 스팸 문자를 수집·분석하는 체계)를 구축해 스미싱 문자 및
[FETV=신동현 기자] SK브로드밴드는 모바일 B tv 앱에 TV 시청 상황을 인식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AI스마트리모컨’ 기능을 도입한다고 11일 밝혔다. AI스마트리모컨은 실시간 방송 및 VOD 시청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AI Feed’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다. AI Feed는 SNS 피드처럼 B tv 시청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 기능을 통해 실시간 인기 채널을 안내하고,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반영해 맞춤형 채널을 추천한다. 또한, 드라마·예능 등의 VOD와 최신 클립 영상 정보를 제공해 다시보기 접근성을 높였다. 홈쇼핑 방송 시청 시에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며, 모바일을 통해 바로 주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VOD 시청 중에는 작품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으며, 출연 배우의 다른 작품이나 관련 상품 정보도 제공한다. VOD 시청이 끝난 후에는 다른 이용자의 댓글 정보와 유사한 콘텐츠 추천 기능을 통해 연관된 작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맞춤형 정보는 보관함에 저장돼 이후에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AI스마트리모컨 출시 기념 ‘OX 게임 이벤트’도 진행한다. 오는 3월 2일까지 모바일 B tv 이벤트 페이
[FETV=신동현 기자] KT가 반려동물 장례 서비스 '우리펫상조' 제휴상품을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우리펫상조는 펫 상조 전문회사인 ‘우리마인즈’와 제휴해 반려동물의 장례를 지원하는 서비스다. 국내 최다지점을 보유한 합법 반려동물 장례식장 '포포즈'를 포함한 전국 8개 장묘 시설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장례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는 ▲우리펫상조 라이트(월 1만9800원/24개월) ▲우리펫상조 베이직(월 2만2000원/36개월) ▲우리펫상조 평생(월 2만2000원/36개월) 3종이 있다.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분할 납부 옵션과 함께 개물림 사고 배상보험과 반려견 장내 미생물 검사 서비스 등의 반려동물 건강 관리도 지원한다. 이용자는 PASS 앱 내 ‘펫쿵’ 메뉴와 KT의 ‘아껴드림’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가입하고 이용할 수 있다. 현재 PASS 앱에서는 반려동물 확인증, 펫케어, 펫세권, 펫캘린더 등의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T는 향후 AI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까지 확대해 반려동물의 입양부터 사망까지 생애주기 전반을 아우르는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KT 관계자는 "앞으로 AI 기반 비대면 건강검진 등 맞춤
[FETV=신동현 기자] LG유플러스는 자사 콘텐츠 전문 스튜디오 ‘STUDIO X+U’ 가 자체 제작한 미스터리 스릴러 콘텐츠인 ‘선의의 경쟁’을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동명의 웹툰을 원작을 바탕으로한 이 드라마는 치열한 입시 경쟁이 펼쳐지는 채화여고에 전학 온 ‘슬기’가 각자의 욕망을 드러내는 친구들과 함께 수능 출제위원이었던 아버지의 의문사에 대한 미스터리를 밝혀가는 내용이다. 출연진으로는 ‘유제이’ 역의 이혜리, ‘우슬기’ 역의 정수빈, ‘주예리’ 역의 강혜원, 최경 역의 오우리 등이 참여했다. 선의의 경쟁은 회당 30분 내외의 미드폼 형식으로 총 16부작으로 구성됐다. 첫 화는 10일 공개됐으며, 매주 월요일부터 목요일 0시에 U+tv와 U+모바일tv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가상의 고등학교 채화여고를 배경으로 한 미스터리 스릴러를 통해 젠지 시청층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시청층을 더욱 세분화하고 다양한 맞춤형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도록 아이템을 고민할 것”이라고 전했다.
[FETV=신동현 기자] LG유플러스의 4분기 매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인건비와 영업외 비용 등의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수익성이 둔화됐다. LG유플러스 측은 저수익 사업 정리와 AI(인공지능)·B2B 사업 분야의 확장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예정이라 밝혔다. 1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의 4분기 매출은 3조75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4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3%, 전 분기 대비 42.2%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770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됐다. 4분기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은 비용 증가였다. 인건비는 5163억원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고 광고·마케팅 비용도 9.8% 늘어난 58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외비용은 26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3.5% 급증했다. 단말 매출도 7380억원으로 전년 대비 9.0% 감소하며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건비가 늘어난 이유로는 LG유플러스가 AI(인공지능) 관련 인재 확보를 위해 200여명의 개발 인력을 추가 채용하면서 고연봉 인력이 늘어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또 작
[FETV=신동현 기자] LG유플러스가 카날플러스(CANAL+), 산하 제작사인 스튜디오카날(STUDIOCANAL)과 손잡고 최신 오리지널 콘텐츠를 국내 독점 제공한다고 9일 밝혔다. ‘카날플러스’는 전 세계 52개국에서 직접 콘텐츠 투자·제작·배급 사업을 진행하는 글로벌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자회사인 ‘스튜디오카날’은 영화 및 방송 전문 제작 스튜디오다. LG유플러스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U+tv에 '파리 해즈 폴른', '머니 앤 블러드', '콜랩스' ,'노벰버' 등 약 188편의 독점 콘텐츠를 제공한다. '원초적 본능', '어바웃 어 보이', '빌리 엘리어트', ‘지옥의 묵시록’, ‘도어즈’ 등 영화도 시청할 수 있다. 카날플러스의 오리지널 콘텐츠는 LG유플러스의 구독형 상품인 유플레이 베이직과 프리미엄에 가입한 고객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U+tv와 U+모바일tv 고객은 콘텐츠별 유료 결제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들과 제휴를 통해 U+tv 고객들이 전 세계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FETV=신동현 기자] KT는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며 기존 통신(CT) 중심의 구매 및 협력사 관리 체계를 AI(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전반적인 AICT 분야에 맞게 개편한다고 9일 밝혔다. 개선 방향은 ▲협력사 경쟁체계 강화 ▲구매 방식 개편 ▲협력사 분류 체계 조정 ▲구매 원칙 정립 ▲AI 기반 구매 시스템 구축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협력사 운영 방식에 ‘품질 최우선 경쟁’ 원칙을 적용해 3~5년 주기로 협력사를 재구성하는 ‘협력사 순환 체계’를 도입한다. 협력사 간 경쟁 입찰을 강화하며 외부 우수 공급사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수의계약은 불가피한 분야로 제한한다. 협력사 분류도 기존 ‘SW 개발·물자·공사·용역’ 체계에서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업이 포함된 ‘AI·IT’ 분야로 조정한다. ‘물자’는 ‘장비·자재’, ‘공사’는 ‘공사·수행’, ‘용역’은 ‘용역·설계’로 세분화해 AICT 중심으로 재편한다. KT는 그룹 차원의 구매 원칙도 정립한다. 모든 구매는 구매부서 관리하에 운영하며 계약은 원칙적으로 경쟁 입찰로 진행한다. 협력사 선정 절차를 투명하게 운영하고 법규 준수 및 업무 윤리를 강화한다. 개별 구매 시스템을 차세대 플랫
[FETV=신동현 기자] KT스카이라이프는 2024년 4분기까지 연결 기준 연간 영업수익 1조229억 원을 기록하며 3년 연속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유지했다고 7일 밝혔다. 그러나 연결 기준 연간 영업이익은 -11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됐다. 전체 가입자는 575만명으로 전년 대비 1%(6만명) 감소했으나 모바일과 인터넷 가입자는 각각 13.8%(5만명), 11.9%(5만명) 증가했다. 신규 가입자의 TV 상품 결합률이 41%를 기록했으며 결합 가입자 비율이 지속 상승하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회사 측은 수익성 중심의 가입자 모집 전략을 유지한 결과 전체 가입자는 소폭 줄었으나 핵심 서비스인 모바일과 인터넷 부문의 성장세는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별도 기준으로는 연간 영업수익 7063억 원으로 전년(7082억원)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인력 구조 개선을 위한 일회성 비용 집행 등의 영향으로 연간 영업이익은 410억원으로 전년 대비 7.2%(32억원) 감소했다. EBITDA는 연간 891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현금 창출력을 유지했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 적자 전환의 주요 원인은 스카이라이프TV의 무형자산 상각비 반영이었다. 콘텐
[FETV=신동현 기자] SK텔레콤과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연구진이 스마트폰 내장 안테나 개수를 확장해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온디바이스 AI를 활용해 기존 스마트폰에 일반적으로 탑재되는 4개의 안테나를 최대 8개까지 확장하는 기술을 실증했다. 이 기술은 스마트폰의 크기와 주파수 환경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전송 품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AI(인공지능)을 적용해 100만 가지 이상의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다양한 변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하드웨어 중심의 다중 안테나 확장 방식보단 AI를 통해 실시간으로 안테나 간섭을 최소화하고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실험실 환경에서 글로벌 통신 계측 장비 회사 안리쓰(Anritsu)의 측정 장비를 활용한 실증해 기존 스마트폰과 동일한 조건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SK텔레콤은 이번 기술을 기반으로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와 협력해 표준화 추진을 검토하고 있으며 칩셋 및 부품 제조사, 스마트폰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모색할 계획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 기술본부장은 “온디바이
[FETV=신동현 기자] LG유플러스는 2024년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1.8% 증가한 14조 6252억원, 서비스 매출이 11조 8434억원, 영업이익은 8631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 성장은 유무선 서비스의 AI 전환(AX) 본격화에 따른 고가치 가입 회선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와 IPTV ‘AI 미디어 에이전트’ 도입이 영향을 미쳤다. 별도 기준 서비스 매출은 10조98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신규 통합 전산 시스템 구축 비용과 4분기 일회성 인건비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13.5% 감소했다. 연간 설비투자(CAPEX)는 20MHz 추가 주파수 할당에 따른 기지국 구축이 마무리되면서 전년 대비 23.6% 줄어든 1조9208억 원을 기록했다. 마케팅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2조 2091억원이다. 모바일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1.8% 증가한 6조4275억원을 기록했다. AX(AI 전환) 도입과 MVNO 가입자 증가, 로밍 수익 확대로 인해 고가치 가입 회선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MNO와 MVNO를 포함한 전체 무선 가입 회선 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