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지수 기자] '검은 금요일'로 불릴 정도로 미 주가지수가 하락했던 지난 2일(현지시간) 세계 최고 갑부들의 자산 평가 가치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은 2일 하루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속한 세계 500대 부자들의 자산가치가 총 1340억 달러(약 182조4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3일 보도했다.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상으로 세계 2위 부자인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순자산 평가가치가 152억 달러(약 20조7000억원) 줄어든 1910억 달러(약 260조원)를 기록했다. 이날 베이조스의순자산 감소 규모는 이혼으로 재산을 분할했던 2019년 4월 4일과 아마존 주가가 14% 폭락했던 지난 2022년 4월 29일에 이어 3번째로 컸다. 억만장자 지수 상 1위 갑부인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65억7000만 달러(약 8조9000억원) 자산이 줄었다. 또 4위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33억9000만 달러(약 4조6000억원), 6위 구글 공동 창업자 래리 페이지는 34억5000만 달러(약 4조7000억원), 7위 오라클 공동창업자 래리 엘리슨은 43억7000만 달러(약 5조9000억원) 각각
[FETV=정해균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2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했다. 연내 금리 인하 전망은 기존 3회에서 1회로 줄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정례회의 뒤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이후 7회 연속 금리 동결이다. 이에 따라 한국(연 3.50%)과 금리차는 역대 최대 수준인 최대 2%포인트가 유지됐다. 연준은 "최근 지표에 따르면 경제 활동은 굳건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으며, 고용 역시 튼튼하다"면서 "물가 상승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지만 최근 지표에 따르면 물가 상승률 2%라는 위원회의 목표에 부합하는 추가적인 완만한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또 별도의 점도표(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나타낸 도표)를 통해 올해 말 금리 수준을 5.1%로 예측했다. 현 기준금리가 5.25~5.5%임을 감안하면 연말까지 0.25%포인트 한 차례 인하하겠다는 뜻이다. 지난 3월 연준은 연말 금리를 4.6%로 전망, 모두 3차례 금리 인하를 시사한 바 있다. 연준은 내년 말 미국 금리가 4.1%일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 역시
[FETV=정해균 기자] 세계은행(WB)은 11일(현지시간)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2.6%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1월 발표한 2.4%보다 0.2%포인트(p) 높은 수치다. 세계은행은 "올해 세계 경제가 3년 만에 처음으로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세계 경제 성장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2022년 3.0%, 2023년 2.6%(추정치), 2024년 2.6%(전망치)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 이전 10년간 평균 성장률인 3.1%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지역별로 보면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 경제는 올해 1.5%, 내년 1.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미국은 탄탄한 소비 덕분에 올해도 지난해와 같은 2.5%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1월 전망보다 0.9% 포인트 높다. 유로 지역은 투자와 수출, 소비 둔화로 올해 0.7%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일본도 지난 1월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낮은 0.7%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은 성장률이 작년 4.2%에서 올해 4.0%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 경제는 올해 4.8%를 기록하며
[FETV=정해균 기자] 미국 뉴욕증시에서 스탠드더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함께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공지능(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가 5%대 급등하면서 시가총액 3조달러에 진입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전날보다 62.69포인트(1.18%) 오른 5354.0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30.86포인트(1.96%) 오른 1만7187.90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지난달 21일 이후 10거래일 만에, 나스닥 지수는 지난달 28일 이후 6거래일 만에 각각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전장보다 96.04포인트(0.25%) 오른 3만8807.33에 마감했다. 특히 엔비디아가 5,16% 상승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처음으로 시총 3조달러를 돌파했다. 주가는 인공지능(AI) 열풍이 불면서 지난 1년 동안 200% 이상 올라 주당 1200달러대를 넘어섰다.
[FETV=심준보 기자]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 중 하나인 나스닥 지수가 2년여 만에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44.18포인트(0.90%) 오른 1만691.92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지난 2021년 11월 19일(1만6057.44)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37포인트(0.12%) 오른 3만8996.39,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6.51포인트(0.52%) 오른 5096.27에 각각 마감했다.
[FETV=임종현 기자] KB국민카드가 코레일톡에서 승차권 예매 시 KB페이(Pay)로 이용할 수 있도록 결제 수단을 추가했다고 27일 밝혔다. KB Pay로 승차권 예매를 이용하려면 코레일톡에서 승차권을 선택 한 후 ‘결제하기 > 간편결제> KB Pay’를 클릭한다. 이용하고자 하는 KB국민 개인 및 기업카드(KB국민 비씨 및 선불카드 제외) 선택 후 결제 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증을 하면 된다. 코레일톡 외에도 KB Pay > 편의기능 > 국민지갑 또는 KB스타뱅킹 앱 내 국민지갑 기차예매 서비스에서도 KB Pay를 이용해 승차권 예매가 가능하다. KB국민카드는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다음 달 4일부터 31일까지 코레일톡에서 KB Pay로 1만원 이상 승차권을 결제하는 고객 대상 이벤트를 진행한다. 추첨을 통해 ▲100만원(1명) ▲1000원(5000명) 등 총 5001명에게 KB Pay 머니를 지급한다. 또 코레일톡에서 KB Pay를 이용하는 고객 중 KB Pay를 생애 최초로 이용하는 고객 전원에게는 KB Pay 머니 3000원을 지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