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송은정 기자]KT는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5조8765억원, 영업이익 3418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단말 수익이 줄고 일부 그룹사 매출이 감소하면서 작년 동기 대비 3.6%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다. 영업이익 증가는 무선과 미디어 사업이 성장하고 AI(인공지능)·DX(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기반으로 B2B 사업이 호조를 보이면서다. 2분기 KT 무선사업 매출은 5G 가입자 확대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0.6% 증가했다. 2분기 누적 5G 가입자는 224만명으로, KT 후불 휴대폰 가입자 중 16%를 넘어섰다. 특히 슈퍼플랜 플러스 요금제가 2분기 5G 신규 가입자의 60% 이상을 유치하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IPTV는 1분기보다 2배 가까운 13만7천명이 새로 가입해 누적 가입자 856만명을 달성했고, 매출은 가입자와 플랫폼 수익 증가로 전년 동기보다 0.5% 증가했다. B2B 사업은 작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특히 AI·DX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상승했다. 이는 KT 주요 사업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KT는 "국내 1위 IDC 사업자로서 디지털 전
[FETV=송은정 기자]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는 상반기 SK텔레콤·KT·LG유플러스·SK브로드밴드 등 통신 4사의 5G 등 통신망 투자액이 3조44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 투자액(9조6000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상반기(3조5100억원)와 유사한 수준이다. 또한 상반기 투자액 목표 4조원에는 못 미치지만, 처음 계획했던 2조7000억원에 비해서는 7000억원 이상 많은 것이다. KTOA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운 투자 여건에도 꾸준히 투자를 확대했다"며 "통신망 투자가 하반기 집중되는 경향이 있지만, 5G 품질 고도화와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상반기로 앞당겨 조기 추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통신사는 코로나19 사태로 실내 망 구축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실외와 접근 가능한 시설 위주로 기지국을 설치했다. 4월부터는 건물주 및 서울교통공사 등과 협의해 실내 시설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아울러 2022년까지 24조5000억~25조7000억원을 투자해 5G 전국망을 구축한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 꾸준히 노력할 계획이다.
[FETV=송은정 기자]네이버웹툰은 웹툰 업계 최초로 유료 콘텐츠 하루 거래액이 30억원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네이버웹툰은 지난 2일 유료 콘텐츠 거래액이 30억원을 넘겼다. 회사 측은 "지난해 8월 업계 최초로 하루 거래액 20억원을 돌파했었다"면서 "지난달에는 글로벌 월간 순 방문자(MAU)도 6500만명을 넘겼다"고 설명했다. 앞서 네이버웹툰은 지난달 30일 올해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2분기 글로벌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57% 성장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미국에서 월간 결제자 수가 전년 동기 2배로 늘어나고, 결제자당 결제금액은 5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에는 글로벌 유료 콘텐츠 월간 거래액이 700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네이버웹툰 측은 국가 간 콘텐츠 유통이 늘어난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네이버웹툰은 한 국가의 작품을 번역해 다른 나라에 유통하는 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지난달 1일 애널리스트데이에서 올해 유료 콘텐츠 거래액 목표치가 8000억원이라고 밝혔다.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거래액 1조원 달성 시기도 예상보다 훨씬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FETV=송은정 기자]NHN이 결제·커머스 사업 확장에 힘입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에도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NHN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4051억원, 영업이익 265억원을 올렸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2분기보다 각각 10.6%, 4% 늘어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1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결제 및 광고 사업 부문 매출이 1569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19.3% 늘어난 수치다. 회사측은 NHN 한국사이버결제 온라인 결제대행(PG)과 해외 가맹점 결제 증가 덕으로 분석했다. 특히 NHN은 금융 서비스 '페이코'(PAYCO) 거래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26% 늘어났다. 또한 오프라인 결제 규모가 1분기보다 20%가량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3배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2분기 게임 부문 매출은 1055억원이었다. 전년 대비 0.5%, 전 분기 대비 0.8% 늘었다. PC·모바일 웹보드 게임, '요괴워치 푸니푸니', '크루세이더 퀘스트', '킹덤스토리' 등이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6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1% 늘어났다.
[FETV=송은정 기자]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의 매직이 제대로 통했다. 하 부회장이 지휘봉을 잡은 LG유플러스가 올해 2분기들어 영업이익이 50%이상 급등하는 등 어닝서프라이즈를 이뤘기 때문이다. 특히 이는 SK텔레콤이나 KT 등 라이벌 통신사와 비교해도 월등히 높은 성적표다. LG유플러스 허연회號는 이로써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0년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9.2% 증가한 2397억원을 달성,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했다고 7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4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5%(’19.4Q), 11.5%(’20.1Q), 59.2%(’20.2Q) 영업이익이 증가하며 3분기 연속으로 통신사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2분기는 영업이익뿐 아니라 영업수익, 서비스수익, 영업이익율 등 성장 •수익성 지표에서 고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영업수익은 3조2726억원을, 서비스수익1)은 2조619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대비 각각 5.1%, 14.2% 증가했다. 서비스수익 대비 영업이익률(마진율)은 9.2
[FETV=송은정 기자]◆5G 넘어 6G 대비…기술개발·국제 표준 선점한다 정부가 2028년 상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6G(세대) 통신 시대에 대비해 기술 개발과 표준 선점을 준비한다. 정부는 6일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의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차세대 기술선점, 표준·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산업 기반조성 등 3개 전략 8개 과제를 제시했다. 2021년부터 5년간 약 2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정부는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6G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선도 연구기관들과 기술동향을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표준 전문조직을 육성하고 국내에 국제 표준화 회의를 유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국내 기술로 6G 핵심부품과 장비를 만들기 위해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한다. 또한 6G가 상용화하는 시점에는 유망 중소기업에 바우처를 활용한 R&D를 지원한다. 이 밖에 정부는 민관이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을 꾸려 전문가들과 6G 사업 목표와 추진현황, 국제
[FETV=송은정 기자] 유명 온라인 게임 '배틀그라운드' 개발사인 크래프톤의 공동창업자 김강석 전 대표가 보호시설을 퇴소한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10억원을 기부했다. 6일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따르면 김 전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사랑의열매 회관을 방문해 모금회에 10억원 기부를 약정했다. 김 전 대표가 약정한 기부금은 기부자의 뜻에 따라 '드리밍 청년' 기금으로 운영된다. 김 전 대표의 기부로 진행되는 '드리밍 청년 인재 프로젝트'는 만 18세가 넘어 양육시설이나 가정 위탁 등 보호시설을 퇴소한 대학생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장학금, 생계비 등을 지원한다. 김 전 대표는 게임 산업에 종사하면서 청년들과 자주 일을 함께했고, 자연스럽게 청년 세대를 위한 지원 사업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사회 청년들이 용기와 꿈을 잃지 않고 자신의 꿈을 펼쳐 나갈 수 있도록 응원하며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이번 기부로 사랑의열매 '한국형 기부자맞춤기금' 9호 가입자가 됐다. '한국형 기부자맞춤기금'은 기부자 의사를 전적으로 반영해 사랑의열매가 운영하는 기금사업이다.
[FETV=송은정 기자]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톡비즈(카카오톡 사업) 매출이 상반기 누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성장했다"면서 "올해 1조원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6일 말했다. 여 대표는 이날 오전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카카오톡 이용자 수가 글로벌 5200만명을 돌파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카카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9529억원, 영업이익 978억원을 올렸다고 이날 공시했다. 영업이익률도 10.3%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으며, 6분기 연속 영업이익 최고치를 경신했다. 카카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광고 시장이 위축됐는데도 매출 성장을 기록한 배경에는 카톡 상단에 노출되는 배너 광고 '톡보드'의 효자 노릇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여 대표는 "톡보드는 작년 5월 테스트를 시작했는데 불과 1년 사이에 누적 광고주 8500여곳을 확보, 국내 성과형 광고 대표 상품이 됐다"면서 "주요 전략 광고주 예산 증가와 신규 광고주 유입으로 6월에 역대 최고 월 매출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카톡 선물하기, 톡스토어, 카카오메이커스 등을 포함한 카카오커머스 거래액도 전년 동기 대비 57% 늘어났다.
[FETV=송은정 기자]넥슨이 기존 PC 게임과 신작 모바일게임의 동반 흥행에 힘입어 올해 2분기에 사상 최대 매출을 올렸다. 일본 증시에 상장된 넥슨은 올해 2분기 매출 7301억원(645억엔, 이하 기준 환율 100엔당 1132.5원), 영업이익 3025억원(267억엔)을 올렸다고 6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 106% 증가한 수치다. 2분기 매출은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매출 기록이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2분기보다 3% 늘어난 2238억원(198억엔)을 기록했다. 넥슨은 상반기 누적 매출은 1조6674억원(1472억엔), 누적 영업이익은 7730억원(683억엔)을 올렸다. 상반기 매출 역시 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0.1%, 영업이익은 4% 늘어났다. 모바일게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 올랐고, PC 게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 올랐다. 모바일게임 매출의 경우 4분기 연속으로 증가했다.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 '서든어택' 등 주요 스테디셀러 PC 게임과 'V4',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등 모바일게임의 동반 흥행에 힘입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FETV=송은정 기자]정부가 2028년 상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6G(세대) 통신 시대에 대비해 기술 개발과 표준 선점을 준비한다. 정부는 6일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의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차세대 기술선점, 표준·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산업 기반조성 등 3개 전략 8개 과제를 제시했다. 2021년부터 5년간 약 2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6G는 1Tbps(테라비트)급 전송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저궤도 위성 통신을 통해 공중 10㎞까지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6G 서비스가 상용화하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의 융합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지난해 4월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상용화했지만, 핵심 부품 대부분이 외국산이고 5G 기반 융합서비스(B2B) 성적은 저조하다. 이에 정부는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6G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선도 연구기관들과 기술동향을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국제민간표준화기구(3GPP)·특허청 등 국내외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