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제성 기자] 서울 집값이 15주 연속 상승하고 있다. 서울 내 강남권 대비 하위권인 ‘노도강(노원·도봉·강북)’지역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지역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3월25일부터 지난 1일까지 15주 연속 상승했고 노도강과 금관구는 각각 지난 6월3일부터 지난 1일까지 5주 연속 상승했다. 그간 하락세였던 노도강과 금관구의 집값이 지난 5월20일 이후 보합으로 전환됐는데 현재까지 오르고 있는 것이다. 지난주 기준 노원은 0.08%, 도봉은 0.02%, 강북은 0.07% 상승했다. 금천과 관악은 각각 0.13%, 구로는 0.15% 상승했다. 대표적인 아파트를 보면 강북구의 대장아파트 SK북한산시티(2004년식·3830세대, 25평)는 지난달 21일 6억원에 매매 거래되며 전고점(7억8000만원)대비 약76% 가격을 회복했다. 도봉구의 주요 대단지인 북한산아이파크(2004년식·2061세대, 33평)는 지난달 18일 8억4000만원에 거래되며 전고점(12억원)대비 70% 가격을 회복했다.
[FETV=박제성 기자] 한양은 경기도 김포시 북변4구역 재개발을 통해 '한강 수자인 오브센트'를 오는 8월 분양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1만 4천여 세대가 거주하게 될 김포시 신흥 주거타운인 북변·걸포 지역을 넘어 한강 서남부권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조성할 계획이다. 한강 수자인 오브센트는 경기도 김포시 북변동 일원에 지하 4층~지상 최고 35층, 29개동 총 3058세대의 매머드급 대단지로 조성되며, 이중 일반분양 물량은 전용 50~103㎡, 2,116세대다. 일반분양 물량의 전용면적별 세대수는 ▲50㎡ 65세대 ▲59㎡ 1,150세대 ▲76㎡ 435세대 ▲84㎡ 316세대 ▲90㎡ 24세대 ▲103㎡ 126세대다.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중소형 타입 위주로 구성되는 가운데 특히 주택시장의 신흥 대세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전용면적 59㎡ 타입이 대거 포함된 것이 눈길을 끈다. 단지 네이밍의 '오브센트'는 '곁에 둔'이라는 의미의 라틴어 '오브'(ob)와 '중심'이라는 의미의 영어 '센트럴'의 합성어로 '새로운 중심에서 생활의 모든 것을 곁에 둔 단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양은 '한강 수자인 오브센트'를 김포를 대표하는 명품 단지로 조성할 계획
[FETV=박제성 기자] GS엔텍이 3000억원의 대규모 투자 계획과 함께 글로벌 해상풍력 하부 구조물 사업자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해상풍력 하부 구조물 생산을 위한 최신 자동화 설비 도입에 2140억원, 기타 건축물 등 약 860억원을 합해 모두 3000억원에 이른다. 향후 2년여에 걸친 투자가 완료될 경우 고객의 니즈에 맞춘 다양한 규격의 모노파일 구조물을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생산해내는 사업장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일본을 비롯한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서 확실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대규모 시설 투자는 최근 GS엔텍이 도미누스 인베스트먼트와 시몬느자산운용 등 재무적 투자자로부터 약 9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유치했을 뿐 아니라, 세계 최고의 해상풍력 모노파일 기술을 바탕으로 한 양산 능력 입증, 국내외 해상풍력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까지 날로 커지면서 더욱 힘을 받고 있다. GS글로벌의 자회사인 GS엔텍은 1988년에 설립된 이후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용 화공기기 제작을 주된 사업으로 해 왔지만, 2020년대 들어 GS 그룹의 친환경 미래사업 전략에 따라 사업 전환을 적극 추진
[FETV=박제성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9일 광양 제1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을 종합 준공했다고 밝혔다. LNG 터미널은 LNG 운반선을 통해 운송된 LNG를 인수·저장했다가, 이를 기화시켜 배관망을 통해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다. 이번 종합 준공으로 광양 제1 LNG 터미널(광양 1터미널)은 1∼6호기 저장탱크를 기반으로 총 93만kL(킬로리터)의 LNG 저장 용량을 확보해 18만㎥급 LNG 운반선을 접안할 수 있는 항만 설비를 갖췄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광양 1터미널은 2002년 착공, 2005년 탱크 1호기 가동 이후 약 20년간 총 1조450억원의 투자가 집행된 대규모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LNG 전 밸류체인을 이끄는 전문회사로서 LNG 저장 인프라 자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했다. 앞으로 광양 1터미널은 발전용과 공정용 천연가스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포스코, 에쓰오일(S-OIL), SK E&S 등 이용사가 직도입한 천연가스를 하역·저장·기화·송출하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5·6호기 저장탱크에는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극저온용 고망간강'이 국내 최초로 적용
[FETV=박제성 기자] 롯데케미칼 이훈기 대표가 올해도 고민이 많을 법하다. 배터리 핵심소재 사업에 조 단위 규모의 투자를 늘렸지만 전기차 캐즘(일시적 정체) 현상과 전통화학 사업 부진 등 이중고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롯데케미칼은 중국발 전통석유화학 사업부진으로 2022년부터 2년 연속 영업손실이 지속된 가운데 올해도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2022년에는 영업손실(7626억원), 2023년(-3477억원)으로 집계됐다. 애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롯데케미칼의 영업손실을 736억원으로 관측하고 있다. 3년 연속 적자로 관측이 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캐즘 여파로 동박 사업들도 영업이익이 나오는 상황은 아니다. 다행스러운 점은 롯데케미칼이 오는 2025년에는 흑자전환(5847억원)이 기대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롯데케미칼 자회사이자 동박사업을 하는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2분기부터 본격 성과를 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애프앤가이드에 따르면 2분기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영업이익은 약 236억원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이어진 누적 영업손실(208억원)을 털어내는 등 흑자 궤도 진입이 유력한 상황이다. 이 대표는 작년 12월부터 롯데케
[FETV=박제성 기자] HMM이 한국으로 수입되는 미국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를 가장 많이 운송한 선사로 나타났다. 미국 JOC ‘피어스 데이터(Piers Data)’에 따르면 HMM은 2024년 한국향 캘리포니아산 오렌지 중 총 2982TEU(점유율 33%)를 운송해 지난해(2380TEU, 25%)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국내 수입되는 오렌지는 대부분 캘리포니아산으로 매년 1~4월 사이에 운송된다. 2위 일본 ONE1828TEU, 3위 프랑스 CMA-CGM 1286TEU로 집계됐다. 오렌지는 냉동ㆍ냉장이 가능한 ‘리퍼 컨테이너’로 운송되는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화물로, 선사들의 유치 경쟁이 치열한 품목이다. 특히 태평양을 건너는 장기 운송과정에서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운송능력이 필수적이다. HMM은 전 세계 일부 선사만 운영하는 ‘울트라 프리저(영하 60도까지 냉동이 가능한 특수 컨테이너)’ 컨테이너를 운영하는 등 최고 수준의 운송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갈수록 고가의 민감 화물이 많아져 화주들의 운송정보 제공 요청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위해 HMM은 일부 리퍼 컨테이너에 IoT(사물인터넷) 장비를 부착하고 올해 6월부터 한
[FETV=박제성 기자] 삼성물산의 홈플랫폼 '홈닉(Homeniq)'을 이용하는 아파트 입주민들의 집안 모든 일상이 더욱 편해질 전망이다. 삼성물산이 9일 서울 송파구 문정동에 위치한 래미안갤러리에서 IoT 전문기업 '아카라라이프'와 매터 기반의 스마트홈 기기 연동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9일 밝혔다. 매터는 여러 다른 브랜드의 스마트홈 기기 제어를 개별 플랫폼이 아닌, 하나로 연동∙통합하는 글로벌 표준 기술을 말한다. 아카라라이프는 매터 인증을 취득한 스마트 허브, 전동 커튼, 조명 등 다양한 스마트홈 제품 공급과 연결 플랫폼을 제공하는 IoT 전문 기업이다. 그동안 IoT 서비스는 세대의 월패드를 통한 빌트인 기기 제어로 시작해 일괄 소등∙음성 인식 등 스마트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홈으로 점차 발전했으나 브랜드별 상이한 규격의 표준 적용으로 기기와 플랫폼의 상호 호환이 보장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삼성물산은 이번 매터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거실과 주방 등 집안 곳곳의 가전과 IoT 기기를 브랜드와 상관없이 홈닉 앱 하나로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신규 단지에는 매터 기반의 스마트홈
[FETV=박제성 기자] 대우건설은 지난 6일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16차 아파트 재건축 정비사업'의 시공자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대우건설의 올해 첫 도시정비사업 수주다. 신반포 16차 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잠원동 일대에 지하 5층∼지상 34층, 4개동, 468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을 짓는 사업으로 총공사비은 2469억원 규모다. 대우건설은 자사의 고급 주거 브랜드인 '써밋'에 강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라 피움'(LA FIUME)을 조합한 '신반포 써밋 라피움'이라는 단지명을 조합 측에 제안했다. 한강 조망이 가능한 신반포 16차 아파트를 강남의 대표적인 랜드마크 단지로 조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번 사업에는 압구정 4구역, 신세계 백화점 본점, 더현대 대구 등의 설계를 담당한 글로벌 건축 디자인 기업 아르카디스가 참여해 외관을 제안했다. 상층부에서 저층부까지 타고 흐르는 듯한 '캐스케이딩' 실루엣과 앞뒤 건물의 높이에 점층적인 변화를 준 '더블 스카이라인'을 연출한 것이 특징이다. 최상층 스카이 브리지도 도입할 예정이다. 조경은 LA디즈니랜드, 부르즈 할리파를 기획한 글로벌 디자인 조경그룹 SWA와의 협력으로 설계했다.
[FETV=박제성 기자] 한화리츠가 서울 장교동에 위치한 한화 본사 빌딩 내 제1동 사무실호를 취득할 예정이라고 8일 공시했다. 해당 건물은 지하4층~지상 29층으로 업무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등이 있다. 이번 한화리츠의 취득액은 8080억원으로 이는 한화리츠 자산총액 대비 113.7%에 이른다. 다만 해당 취득액은 취득세 등 기타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한화리츠 관계자는 "(취득목적) 부동산 임대를 통한 수익 창출"이라고 말했다.
[FETV=박제성 기자] 삼화페인트공업은 소규모 풀장 마감용 수성 페인트 ‘워터세이프 300’을 신규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그동안 수영장에 사용하는 페인트 대부분은 유성제품이었다. 삼화페인트는 유성제품을 수성제품으로 전환하면서 워터세이프 300을 개발했다. 신제품은 유성도료와 유사한 수준의 내구성을 갖췄다. 내후성과 부착력도 강해 펜션 내외부 수영장이나 풀빌라 등에서 벗겨짐 걱정없이 쓸 수 있다. 실내 공기질과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과 4대 중금속을 최소화했다. 삼화페인트 관계자는 “수영장 마감용 페인트 라인업을 확장해 시장을 선점하고자 소형 풀장 마감용 수성 페인트를 개발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