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진태 기자] 지난해 전국 아파트 전월세거래량이 100만건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가 지속되자 매매수요가 임대차 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전월세 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1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전국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총 105만9306건으로 집계됐다.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1년 60만2416건 △2012년 60만5772건 △2013년 58만7208건 △2014년 64만3274건 △2015년 62만8006건 △2016년 63만8244건 △2017년 64만9739건 △2018년 72만1225건 △2019년 80만726건 △2020년 87만6032건 △2021년 95만9576건 순이다. 지난해 전체 임대차 거래 중 월세 계약 비중은 42.7%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보였다. 지역별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 23만1846건 중 월세 거래는 9만8810건으로 비중이 42.6%에 달했다. 경기도는 전·월세 거래 34만 9711건 중 15만1518건으로 43.3%, 인천은 전·월
[FETV=김진태 기자] 삼강엠엔티가 31일 연 주주총회에서 에스케이오션플랜트로 사명을 바꾼다고 이날 밝혔다. 변경사유는 SK그룹 멤버사 편입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서다.
[FETV=김진태 기자] 정원주 대한주택건설협회(주건협) 회장은 "주택경기가 어려워지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주택 시장 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건협은 31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1·3 부동산 규제완화 대책 발표 이후 주택업계 건의사항'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정 회장은 "주택건설 경기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그 방안으로 아직 남아있는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2년 사이 자재값이 많이 올라 레미콘 값이 60% 가량 올랐고, 석유값, 인건비도 많이 상승했다"며 "지금 분양가대로라면 거의 이익이 나지 않아 (주택 공급을) 멈출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주건협은 이날 간담회에서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보증 개선을 통한 주택사업자의 자금조달 여건 개선과 정부의 미분양 주택 매입, 주택거래 정상화 지원, 탄력적 주택공급 여건 조성 등을 요청했다. 특히 미분양 주택 매입과 관련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해 청년과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등의 매입 임대사업용으로 활용할 것을 요청했다. 또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 공
[FETV=김진태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31일 ‘광양 제2 LNG터미널 착공식’을 개최했다. 총 9300억 원을 투자해 LNG탱크 20만㎘급 2기를 추가 증설하는 사업으로 완공시점은 2025년이다. 이날 착공식에는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어기구, 서동용 국회의원,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 등 정부, 고객사 관계자와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을 비롯한 포스코그룹 경영진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증설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LNG 전 밸류체인(가치사슬)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미드스트림(LNG 저장)의 인프라자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현재 광양 LNG터미널에 73만㎘ 규모의 1~5호기 LNG 탱크를 운영하고 있고, 2024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20만㎘의 6호기도 건설 중에 있다. 이번에 착공하는 20만㎘급 2기의 LNG저장탱크가 더해지면 총 저장용량은 133만㎘로 늘어나게 된다. 이는 전 국민이 40일 동안 사용 가능한 난방용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다. 2025년까지 증설이 완성되면 광양 LNG터미널은 국내 민간1위이자 전세계 11위 터미널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LNG 저장용량 확
[FETV=김진태 기자] 현대제철의 2022년 연간 경영실적이 크게 악화됐다. 지난 하반기 노조 파업과 시황 악화가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3.9% 감소한 1조616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1일 밝혔다. 지난해 매출은 27조3406억원으로 전년보다 19.7%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31% 감소한 1조384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제철의 이 같은 실적 악화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경기 침체로 인한 시황 악화와 노조 파업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단 2023년에는 생산 정상화에 따른 매출 회복과 수익성 중심의 경영을 통해 점진적으로 손익을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올해 철강 시황은 중국 경제활동 재개 및 미국·신흥국 주도 글로벌 철강 수요 반등, 공급망 차질 완화에 따른 자동차 생산량 증가, 견고한 글로벌 선박발주에 따른 수주잔량 증가 등으로 국내외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제철은 이 같은 경영 환경에 대응해 주요 제품별 시장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자동차 강판 시장의 경우 국내 수요 회복에 대응하는 한편, 해외 시장은 실수요 중심으로 판매 비중을 높이는 동시에 핫스탬핑
[FETV=김진태 기자] GS건설이 지난해 역대급 수주 실적을 거뒀음에도 연일 울상이다. 가공할 만한 수주 기록을 세웠지만 공사비를 제대로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올해들어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미분양 우려까지 커지는 모양새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우수한 경영 성적에도 불구하고 GS건설의 얼굴에 미소가 없는 이유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GS건설은 지난해에만 16조원이 넘게 수주하면서 신기록을 세웠다. 전년 수주 실적보다 4조원 가량 많은 금액으로 지난 1969년 창립 이래 최대치다. GS건설이 작년에만 16조원이 넘는 수주를 쌓아올리며 신바람을 내고 있지만 속은 끙끙 앓고 있다. 곳간에 쌓인 일감도 가득하고 현재 진행중인 공사도 많이 있지만 받아야 할 돈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어서다. GS건설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조4387억원의 미청구공사액을 보유하고 있다. 미청구공사는 공사를 진행했지만, 발주처에 청구하지 않은 금액을 말한다. 아직 청구하지 않은 금액인 만큼 손실로 처리될 가능성도 크지 않다. 하지만 발주처가 미청구공사를 인정해 주지 않을 경우 해당 금액은 손실로 잡힌다. 공사를 해놓고도 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FETV=김진태 기자] 마크 맥고완 (Mark McGowan) 서호주 수상이 지난 30일 서울 포스코센터를 방문해 ‘포스코그룹 수소 밸류체인 특별전시(POSCO hydrogen world)’를 관람했다. 31일 포스코에 따르면 이날 마크 맥고완 서호주 수상은 "포스코그룹의 수소를 비롯한 신재생에너지의 경쟁력을 볼 수 있는 자리였다"며 "특히 포스코그룹의 그린수소 생산부터 수소환원제철 및 수소저장·활용까지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준비가 인상적이었다"고 밝혔다. 전시 관람 후 마크 맥고완 수상 일행은 포스코그룹과 서호주 청정수소·그린스틸 및 핵심광물 개발 현황과 전략을 공유하고, 청정수소·그린스틸 및 이차전지소재 사업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최정우 회장은 "호주는 포스코그룹의 창업부터 함께한 비즈니스 파트너국이다"며 "포스코그룹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력하고 있는 청정수소와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마크 맥고완 수상은 "포스코그룹은 서호주와 전통적인 원료 협력뿐만 아니라 청정수소와 그린스틸, 이차전지소재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도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포스코그룹은 지금까지 철광석, 리튬, 니
[FETV=김진태 기자]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대우건설이 76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면서 창사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다. 대우건설은 2022년 연간 경영실적 잠정집계 결과(연결기준) 매출 10조 4192억원, 영업이익 7600억원, 당기순이익 5080억원의 누계 실적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20% 증가한 수치다. 사업부문별로는 ▲주택건축사업부문 6조 3590억원 ▲토목사업부문 1조 8973억원 ▲플랜트사업부문 1조 4460억원 ▲베트남 하노이 THT 개발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는 연결종속기업 7169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전년 실적 대비 2.9% 증가한 7600억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 7.29%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당기4.8% 증가한 5080억원을 기록해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불확실한 대외 여건 속에서도 영업이익이 시장전망치(FN가이드 기준 1902억원)를 상회하며 대우건설의 뛰어난 위기관리 역량을 입증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가파른 금리 인상, 원자재 및 외주비 상승 등 국내·외 어려운 대외 경영 환경에서도 주택건축사업부문의 견고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매출이 증가했다”며 “원가율 상승의
[FETV=김진태 기자] 진에어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116억원을 기록하면서서 지난 2019년 1분기 이후 15분기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진에어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 2254억원, 영업이익 116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과 영업손실은 각각 5939억원, 672억원으로,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0% 증가했고 영업손실도 전년(-1853억원)과 비교해 대폭 개선됐다. 진에어 관계자는 "일본과 동남아 노선 사업량 확대를 통해 전년 대비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국토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진에어의 지난해 4분기 국제선 여객수는 66만여명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하면 63% 가량 회복한 것으로 국내 항공사 중 1위에 달하는 수치다. 진에어 관계자는 "올해 경기 침체에 따라 예상되는 불확실성에 맞서 적극적인 노선과 기재 운영으로 시장 대응력을 제고하고, 비용 절감 노력을 통한 수익 극대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FETV=김진태 기자] GS건설이 지난 해 신규수주 16조원을 넘기며 창사 이래 최대 수주실적을 달성했다. GS건설은 30일 공정 공시를 통해 매출 12조2990억원, 영업이익 5550억원, 세전이익 6640억원, 신규수주 16조 740억원의 2022년 경영실적(잠정)을 발표했다. 보수적인 원가율 반영으로 영업이익 규모는 전년 대비 줄었지만 신규수주와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신사업 부문 매출이 최초로 1조원을 달성해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견고한 행보를 이어갔다. GS건설 공시에 따르면 2022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14.1% 감소했지만, 세전이익은 소폭(0.9%) 증가했다. 미래 성장세를 가늠하는 신규수주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6%, 36.1% 증가해 양호한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신규수주는 22년 수주 목표(13조1520억원)를 22.2%나 초과 달성한 16조74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 14조1050억원의 수주 최고기록을 뛰어넘는 것으로 창사(1969년) 이래 역대 최대치다. 부문별로는 국내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주택 부문에서만 10조6400억원의 실적을 거뒀다 신사업 부문에서는 GS이니마(434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