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http://www.fetv.co.kr/data/photos/20221041/art_16653875414965_883879.jpg)
[FETV=박신진 기자] 올해 4분기(10∼12월) 국내 제조업 경기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 심리가 더욱 악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연구원이 국내 10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10일 발표한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4분기 시황과 매출 전망치는 각각 92, 95를 기록해 기준선인 100 미만을 기록했다. 또한 모두 3분기보다 하락한 수준이다.
BSI는 100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 분기 대비 경기가 개선될 것이란 전망을 하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다. 반대로 100에서 0으로 근접할 경우 경기 악화 전망을 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시황 전망치는 3분기 95에서 4분기 92로, 매출 전망치는 97에서 95로 떨어졌다. 아울러 내수와 수출 전망치도 각각 94, 97을 기록하며 2분기(내수 96·수출 99)보다 하락했다. 4분기 설비투자와 고용 전망치는 각각 96, 98을 기록했다. 3분기(설비투자 101, 고용 103)을 하회했다.
기업 유형별 4분기 매출 전망치는 대형업체를 제외한 나머지 대다수 유형에서 100을 밑돌았으며, 이전 분기와 비교해 대체로 하락했다. 종사자 수가 300인 이상인 대형업체(101)는 100을 웃돌았으나, 300인 미만인 중소업체(93)는 100을 하회했다.
신산업 부문 전망치는 93으로 전 분기 대비 13포인트(p) 급락했다. 정보통신기술(ICT) 부문 전망치 역시 93으로 전 분기 대비 5p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이차전지의 매출 전망치가 80으로 전 분기(112) 대비 무려 32p나 떨어졌다. 무선통신기기(116), 정유(106), 자동차(101)만 기준선을 웃돌았으며, 나머지 업종은 기준선 아래를 기록했다.